초록 열기/닫기 버튼

신 미디어 SNS는 최근 몇 년간 급신장과 사회전반의 막대한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으면서, 동시에 사회전반에 여러 폐해 사례들이 나타나고 이용성장률이 둔화되고 있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SNS의 지속 이용 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용과 충족 이론과 기술수용모델을 이론적 기반으로, 본 SNS 지속이용 모형은 SNS 이용 시 중요 기능인, 전문가검색, 대화와 연결, 컨텐츠 공유, 및 정체성과, 기술수용모델의 주요 변수인 SNS의 유용성 지각과 SNS의 이용 용이성 지각, SNS의 이용 충족 및 향후 지속 이용 의도, 그리고 사회심리적 변수인 네트워크 요인과 SNS 자기 효능감 간의 구조적 역학 관계를 제시하였다. SNS 실 사용자들의 인구통계적 특성이 반영된 응답자 대상의 서베이 진행하여(n=522) 본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가능하도록 하여 설명력 높은 SNS 지속 이용 모형을 얻을 수 있었다. 분석 결과, SNS 사용자들은 SNS가 콘텐츠 공유를 제외한 전문가검색, 대화와 연결, 및 정체성의 기능을 제공한다고 지각하고 있으며, 이러한 SNS 기능관련 지각들은 SNS 유용성 지각과 SNS 이용 용이성 지각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지각된 SNS 유용성과 SNS 이용 용이성은 SNS 이용충족을 높였으며, 가설과 달리 SNS 유용성 지각은 향후 SNS 지속 이용 의도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가설과 동일하게 SNS 이용 용이성은 향후 SNS 지속 이용 의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흥미롭게도, 외재적 요소로써의 사회 심리적 변수 네트워크 요인은 연구가설과 달리, 향후 SNS 지속 이용의도에도 이용 만족도에도 둘 다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SNS를 통한 네트워크요인이 제대로 작동 안하고 있다는 반증의 결과라 하겠다. SNS 자기 효능감은 제안된 가설처럼 SNS 이용 충족과 향후 SNS 지속 이용 의도 둘 다 긍정적 효과를 발견하였는데, 이를 통해 SNS 자기 효능감이 SNS의 지속사용의도에 중요한 내재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구 결과와 함께 이론적 의미와 SNS의 지속이용을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기업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써 기업의 전략적이고 성공적인 SNS 활용을 위한 함언을 제시하였다.


A new media, SNS have shown fast growth in the last few years and increasing its impact throughout our society, and also have revealed various problems throughout our society along with the mature of SNS growth rate. Based on the background, this study proposes a SNS continuing usage model, which is based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an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is model show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our major functions (expert search, communication and connection, content sharing, and identity) for SNS usage, the perceived usefulness on SNS and the perceived ease of use in SNS, SNS gratifications, a continuing usage intention for SNS, and network factors and SNS self-efficacy, which are social-psychological variables. Considering actual SNS users’ demographic features, this research collected data (n=522) so that generalization of the findings in this study is possible.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ree major variables for SNS function perceptions (expert search, communication and connection, identity) except the ‘content sharing’ construct positively affected perceived usefulness in SNS and perceived ease of use in SNS. Perceived usefulness in SNS and perceived ease of use in SNS by these SNS function perceptions directly affect SNS gratifications. Unlike the proposed hypothesis, perceived usefulness in SNS did not affect continuing usage intention for SNS and like the proposed hypothesis, perceived ease of use in SNS affected continuing usage intention for SNS. Interestingly, unlike the proposed hypothesis, network factors and SNS self-efficacy, which are social-psychological variables as an external factor, do not affect either SNS gratifications or continuing usage intention for SNS. This result shows an evidence meaning the network factors through SNS actually does not work. This study also found an effect of SNS self-efficacy on both SNS gratifications and continuing usage intention for SNS, as hypothesized so that it confirmed that SNS self-efficacy is an important internal factor for continuing usage for SNS. This study discusses theoretical meanings and insights within the findings to increase continuing usage intention for SNS, and provides managerial implication directions for strategical, successful utilizations of SNS as a marketing communication t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