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청소년의 성공적인 학교적응 과정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적응 과정은 어떠한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부산지역의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북한이탈청소년 9명이었다. 연구결과 총 100개의 개념과 32개의 하위범주, 17개의 상위범주로 유목화 하였다. 이 범주들은 인과적 조건(다른 환경에 전입), 중심현상(위축, 막막함), 맥락적 조건(소외감, 대화의 어려움, 기초학습의 부재), 중재적 조건(의지할 친구, 가족의 지지, 선생님의 도움, 다양한 지지체계), 작용/상호작용전략(의지력 발휘, 신분을 알림, 인정받으려는 노력, 또래와 어울림), 결과(학교에 통합, 감사하는 태도, 의기소침)로 분류되었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적응 과정은 '낯선환경 전입단계, 위축단계, 대처단계, 적응단계'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범주는 ‘차이와 차별을 넘어 융화되기’이다. 유형은 ‘적극 노력형’, ‘소극적 대응형’, ‘위축형’으로 나타났다. 북한이탈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돕는 주요인은 다양한 지지체계, 원만한 친구관계, 적극성, 신분노출 등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적응 과정과 유형 등을 밝힘으로써 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적응과정에 대한 실제적 이론구축 및 정책적, 임상적 개입에 그 함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grounded theory for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who were new settlers(North Korean defectors). With the question of ‘how young new settlers have adapted to a school?’ the study attempted to adapt a grounded theory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1990). Nine new settlers who were currently attending secondary school in Busan area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100 concepts with 32 sub-category and 17 upper-category were classified for the study. These categories in turn were classified as cause and effect condition (transference to the new environment), main phenomenon(withdrawal, helplessness), contextual condition(isolation, difficulty in communication, low function in studying), mediating condition(willpower, dependable friends, family support, teacher support, several support system), action/interaction strategy (active encounter, being sociable, endeavor for recognition, planning for the future) and result (integration, satisfaction, depressive state). The process of adjustment for the school had the following steps: ‘transfer to strange environment’, ‘withdrawal’, ‘coping’, ‘adjustment’. Main theme was ‘to overcome their identification and assimilation’. Types were ‘active endeavoring’, ‘passive coping’, ‘shrinking’. This study was expected to contribute to make a practical theory, and to provide policy and empirical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