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간 존엄성에 대한 근거로 활용되는 ‘인격’(위격, persona)개념의 정의 중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것은 “이성적 본성을 지닌 개별적 실체”라는 보에티우스의 정의이다. 그의 정의는 그리스도론에 관련된 토론에 튼튼한 기반을 마련해 주었지만, 중세 시대를 거치며 활용영역이 넓어지면서 다양하게 비판받거나 수정되었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종합적인 해석을 제외하면, 이러한 수정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성 빅토르의 리카르두스가 새로운 정의, 즉 “[…] ‘페르소나’는 이성적 본성을 지닌 교환불가능한 실존이다.”([…] persona est rationalis nature incommunicabilis existentia.)란 정의를 제안한 일이다. 리카르두스는 이러한 정의에 신학적인 관심과 매우 복잡한 새로운 철학적 개념과 구분들을 연결시킴으로써 도달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리카르두스가 사용하는 ‘위격’(persona), ‘실존’(existentia), ‘교환불가능성’(incommunicabilitas), ‘특성’(proprietas) 등의 주요개념이 그의 저서 『삼위일체론』 안에서 정확하게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밝히고, 이것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리카르두스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였다. 리카르두스는 우선 제III권에서 사랑의 유비를 고찰하여 ‘최고의 애덕’ 안에 공동체적인 성격이 포함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삼위성을 증명했다.(제I장) 이어서 리카르두스는 제IV권에서 ‘무엇’과 ‘누구’의 구분을 통해 실체(substantia)개념과 구분되는 실존(existentia)개념을 규정했다.(제II장), 그는 또한 개별성과 구분되는 교환불가능성(incommunicabilitas)개념을 사용함으로써 위격이 지닌 고유성을 명확히 하기 위한 도구를 마련했다. 이 두 요소를 이용하여 리카르두스가 어떻게 보에티우스의 정의를 비판하는가를 살펴 본 후, 세 위격이 자신의 교환불가능성에 따라 어떻게 구별될 수 있는가를 밝혔다.(제III장) 이와 같은 리카르두스가 페르소나의 새로운 정의를 찾으려는 노력이 인격개념의 발전 과정에서 지니고 있는 의의를 고찰했다.(제IV장) 이러한 연구를 통해 현대의 철학적인 인격개념들을 풍성하게 해 준 대체불가능성, 인간의 근원적 관계성 등의 기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이다.


The most famous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person’(persona), used as the basis of human dignity, is the one by Boethius: “an individual substance of a rational nature.” Although this definition provides some clarification of the mysteries of Christ, it was criticized and transformed variously throughout the medieval age, when the concept was used in different theological themes. Apart from synthetic analysis of Thomas Aquinas, the most important of these amendments was that by Richard of St. Victor who suggested a new definition: “person is an incomminicable existence of a rational nature.” Richard arrived at this definition by combining theological interests with complicated new philosophical concepts and distinctions. The present article elucidates the correct meaning of the concepts used by Richard, i.e. persona, existentia, incommunicabilitas, proprietas etc. in his book De Trinitate and what he wanted to express by these concepts. Richard first confirmed in De Trinitate III by considering the analogy of love that the communal character belongs to the ‘supreme charity’ and proved the Trinity by using this. (ch. I) He went on in De Trinitate IV to determine the concept of existentia distinguished from the concept of substantia by separating ‘what’ and ‘who’ questions. (ch. II) He also prepared for a medium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divine persons by using the concept of incommunicabilitas differentiated from individuality. We consider how Richard criticized the definition of Boethius with these two concepts, and how the three divine Persons can be distinguished by their incommunicability in De Trinitate V. (ch. III) We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person’ through an inquiry into Richard’s new definition of persona. (ch. IV) Through this study, we will arrive at a better understanding of incommunicability and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of human beings, notions that have attracted the attention of modern thin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