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그동안 조직 구성원의 성과평가(performance appraisal)에 관한 연구는 주로 중앙・지방행정조직이나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반면, 문화예술조직에 종사하는 구성원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최근 국민들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문화예술분야에 대해서도 성과평가를 통한 구성원의 역량을 강화하고 서비스 질의 향상을 도모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이 논문은 문화예술조직의 하나로서 현행 국립국악원 단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성과평가제도의 적정성을 진단하고, 성과평가제도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 및 성과평가제도가 개인성과와 소속악단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성과평가제도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 결과, 국립국악원 단원들은 성과평가체계의 적정성, 성과평가의 공정성, 성과평가등급 및 성과급 배분, 성과평가결과의 활용을 포함하는 성과평가제도 전반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부정적 인식의 원인으로는 성과평가체계의 설계과정에서 구성원들의 의견 및 참여 배제, 객관성과 타당성이 떨어지는 평가영역과 평가지표의 구성, 성과급 지급의 불공평성 등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성과평가제도가 개인 및 소속악단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성과평가체계의 적정성과 성과평가결과 활용의 적정성이 개인 및 소속악단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current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in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employees about the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and its impacts on individual and group performances. The study was conducted by surveying and interviewing employees working in the National Gugak Center. As results, it found that they had negative perceptions about whole performance appraisal systems including the relevance of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its fairness, performance-pay system, and the utilization of performance appraisal results. The exclusion of employee opinions and participations in the design process of performance appraisal, the lack of objectivity and validity in performance appraisal components and indicators, inequality in the distribution of performance-pay was to be analyzed as major reasons of these negative perceptions. OLS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employed to examine the impacts of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on individual and group performances. As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the relevance of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and the proper utilization of performance appraisal result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dividual and group perform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