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성과’가 높은 관심을 받는 시기에도 저성과자에 대한 관심은 저조했다. 본 연구는 공공조직의 저성과자 관리 현황과 발생 규모, 원인, 처방을 민간조직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실증분석 결과, 공공조직은 전반적으로 저성과자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의 도입정도가 매우 낮았으며, 성과나 결과지향적인 평가보다는 능력과 태도위주의 평가가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조직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공공과 민간 조직 모두 저성과자 관리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에 비해, 실제 관리는 고성과자에 치중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성과자의 관리에 있어서는 기존의 퇴출중심 접근방법 보다는 역량강화위주의 접근방법을 우선시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무엇보다 성과 평가에 있어서 객관적인 기준에 의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평가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체계적인 성과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Low performer has often been neglected in the era of reforms for the improvement of government productivity.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how many C-players exist in public organization and what makes their low performance and how they can be improved. The results of empirical survey show that government adopts very few programs for the management of low performers. Performance appraisal is also carried out on the basis of attitude and capability, instead of 'performance'. Generally utmost focus is given to high performers, not to low performers both i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From the aspect of effective management of low performers, this study indicates that capacity building approach is better than kick-out approach. First of all, reliable performance appraisal is needed based on objective criteria. It is significant to consider the improvement of low players as a part of the total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