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들어 주목받고 있는 조직침묵에 대한 개념을 한국적 상황에 고려하여 재정립하고, 기존의 조직침묵 척도가 한국의 공공조직 종사자들에게 적합한지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의 행정문화(상명하복 강화, 관계지향적, 보수적이고 폐쇄적 조직문화 등)를 고려하였을 때, 한국적 조직침묵이란 “조직 구성원이 조직 내 발생하는 현상과 상관의 결정에 대해 문제나 개선사항을 인지하더라도, ‘상황에 체념 혹은 순응’, ‘자신의 능력에 체념’, ‘상관 혹은 동료와의 관계 악화에 대한 우려’를 이유로 의견이나 이의제기를 회피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직침묵 문항의 구성타당도 분석을 위해 전국 해양경찰조직 종사자 392명을 대상으로 조직침묵 측정을 실시하였다. 구성타당도 분석은 요인분석과 집단(신입과 현직 경찰) 간 차이 분석(T-test)을 통해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기존의 조직 침묵 척도에서 제시된 3개 하위요인(체념적, 방어적, 친사회적 침묵)과 동일하게 구분되었고 총 15개 문항 중 13개 문항은 조직침묵 측정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직경찰이 신입경찰에 비해 더 침묵에 대한 인식이 더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조직침묵 설문지가 한국의 공공조직 종사자들에게 사용하기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한국적 조직침묵 척도 제작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reestablish the definition of Organizational Silence regarding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in the South Korea, and confirm whether the previous scales of Organizational Silence are suitable for public employees. Given Korean bureaucratic culture which is characterized as relation-oriented, conservative and closed-culture, this study defines Korean Organizational Silence as a phenomenon that members of an organization tend to avoid raising their opinions and/or objections either for fear of worsening relationship with peers and/or superiors, resignation and/or acquiescence to the current situation or resignation to their ability even though they are aware of superiors’ wrong decision making or organizational improvement. This study measures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Silence targeting 329 employees of Korea Coast Guard in order to analyze construct validity of questionnaire Construct validity is analyz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T-test.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the factors fall into three sub factors suggested by the previous scales of Organizational Silence, and thirteen of the fifteen questions are suitable for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Silence. Also, experienced employees are more likely to keep their silence than no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previous questionnaire of Organizational Silence is appropriate measurement for employees of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Thus,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develop scales for Korean Organizational Sil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