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저성과자에 대한 관리가 공공부문의 역량과 경쟁력 향상에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음에도 그동안 저성과자와 관련한 실증연구는 매우 부족했다. 본 연구는 실증자료를 바탕으로 공공부문 저성과자의 발생원인과 이들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 및 관리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공부문의 저성과자는 성과지향성이 약한 조직문화와 목표에 대한 인지부족, 성과평과시스템의 문제 등 조직・제도 차원의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성과자가 많을수록 저성과자가 조직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증가하지만, 이들에 대한 관리 노력은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부문에서의 저성과자 발생은 단순한 개인적 문제가 아닌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저성과자에 대한 조직적・제도적 차원의 관리는 저성과자가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Few empir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low performers in government organizations, despite the growing recognition that their impac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may be as significant as those of high performers. This study attempts to shed more light on this important but little known topic by: 1)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employees with low performance and 2) examining whether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negatively affected by the increase of workers with poor performance and, if it is, 3) whether this negative relationship could be attenuated by any managerial efforts. Results from a series of analyses of the data from a large-scale employee survey indicate that various types and levels of factors, including organization culture, perception of goals, an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ccount for the increase of employees with low performance in a government organiza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although the increase of low-performing employees leads to more problems in an organization, managerial actions for dealing with such workers help to alleviate the negative consequences.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low performers and their influ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call for further research on this topic by both academicians and practitio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