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신독재수택본전기집』의 교열자를 김집으로 확정하지 못하는 현재의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무엇보다 이 소설집에 15세기 김시습의 『금오신화』중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이 전사되어 있는 점이 흥미로웠다. 왜 이 소설집의 전사자는 『금오신화』중 이 두 편만 전사한 것인가?물론 의도적 전사가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필자는 교열자로서 김집을 확정할수 있는 단서를 이 두 편의 전사 이유를 추단하는 가운데 찾아보고자 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이 소설집은 기호산림과 연관 있는 독자가 전사하였고,그 주변 문인들이 적극적으로 향유하면서 교열의 과정이 진행되었던 것으로 추정해보았다. 이러한 추정의 연장선상에서 교열자로서 김집을 상정해볼 수 있었다. 이 소설집은 17세기 김집이 감상 · 교열한 이후 그 주변인들의 손을 거쳐전승되면서 지역적 이동도 가능할 수 있었고, 소설 이 아닌 시나 산문들도 추가된 것으로 본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find some evidence that Kim Gib(金集) could bethe reviser of the 17th century novel collectionShindogjaesootaecbonjoongigib(愼獨齋手澤本傳奇集). Since current studieshave left the question of the reviser, the paper will provide the possibilityof the authorship of the reviser by examining academic tradition. Thecollection contains seven short stories which are fully transcribed, and KimSi-Sub's 'Manboksajepoki(萬福寺樗蒲記)' and 'Leesengkujanjun(李生窺墻傳)'are among them. Interestingly enough, out of five short stories inGumhoshihwa(金鰲新話)of the 15th century only the two stories areincorporated in the collection. Although it might not reflect the transcriber'sintention, as I will argue, the honour and integrity aspired in the two storiesare aligned with the spirit of Gihosanlim(畿湖山林) who particularlyemphasized fidelity and loyalty in their life. 'Manboksajepoki(萬福寺樗蒲記)'and 'Leesengkujanjun(李生窺墻傳)' were reading books for the 17th centuryliterati and were well-suited for the life of thought that they sought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