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borrower's choice of debt financing (public versus private) and its choice of earnings management tools (accrual-based versus real activities). Based on a sample of public and private debt issuers from 1992 through 2002, I document that public debt issuers increase their accruals prior to issue then decrease their accruals subsequent to issue year while private issuers do not show any specific pattern. In addition, I find evidence that both public and private debt issuers engage in real earnings management. However, the results suggest that private debt issuers manipulate earnings via real actions more heavily than public debt issuers. Overall, 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that public debt issuers prefer to manipulate earnings through income increasing accruals while private debt issuers prefer to manage earnings through real activities.


본 연구는 기업의 부채를 발행하는 방법과 이익조정 방법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있다. 1992년부터 2002년까지의 차입과 채권을 발행한 기업들 중 채권을 발행한 기업들은 채권 발행전 accrual이 증가하고 채권 발행후 accrual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차입을 한 기업들은 차입 전후에 accrual의 어떤 특정한 패턴을 보이지 않았다. 이에 더해서, 채권 발행 기업들과 차입을 하는 기업들 모두 accrual뿐 아니라 실제 경제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에 관여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하지만 이러한 실제 경제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은 채권을 발행하는 기업들에 비해 차입을 하는 기업들에게서 더욱 뚜렷히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이 연구의 결과는 채권을 발행하는 기업들은 accrual을 증가시키는 이익조정방법을 선호하고, 차입을 하는 기업들은 실제이익조정 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