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많은 국내선행연구들은 국내시장에서 국외와 달리 부채계약가설(debt covenant hypothesis)이 지지되지 않는 이유로 부채계약의 시장 환경차이로 보았다. 본 연구는 총부채비율을 특성별로 세분화하여 경영자의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영향들이 경영자의 이익유연화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첫째, 부채비율은 각 특성에 따라 경영자의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고 결론을 내렸다. 즉 유동부채비율(CULEV)의 증감은 기업의 유동성에 민감하므로 경영자의 이익조정 변동성을 증대시켰고, 영업부채비율(OPLEV)의 증가는 상대적으로 경영자의 이익조정 행위를 견제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공적부채비율(PBLEV)의 증가는 공시정보에 민감하므로 이익조정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특성에 따른 부채비율과 이익조정 간의 관련성은 이익유연화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익유연화 정도가 높은 기업의 부채비율과 이익조정 간의 관련성은 유의성이 떨어지는 반면, 이익유연화 정도가 낮은 기업의 부채비율과 이익조정 간의 관련성은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영자 의도의 잡음(noise)이 상대적으로 적은 기업에서 부채비율과 이익조정 간의 관련성이 더 명확한 것으로 해석이 된다. 상기의 유익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부채의 특성구분이 다소 자의적이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이익유연화 측정치도 다양한 방법 중에 하나에 불과하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향후 부채계약가설의 검증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기업의 자본조달시장 투명성이 증대되기를 기대한다.


Many domestic researches have maintained that the reason why a debt covenant hypothesis abroad had not been supported in Korea was the differences of debt covenant practic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each debt ratio subdivided by debt characteristics on earnings management and whether it could b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income smoothing level.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categorized into two aspects as follows. First, I drew a conclusion that the relation between debt-ratio and earnings management was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debt characteristics from analysis. In other words, a current debt-ratio makes the variation of earnings management higher since the current debt-ratio is closely associated with liquidity of firm. Likewise, the more operating debt-ratio increases, the less the chance of monitoring earnings management by a debt provider is slim. A public debt provider which is sensible to public announcement may restrict manager's upward earnings management. Second, I found the result that the relation between debt-ratio and earnings management would be influenced by income smoothing level. Namely, the significance of debt-ratio to earnings management in firms with low income smoothing level is lower while that in firms with high income smoothing level is higher. This result means that the relation between debt-ratio and earnings management is clearer in firms accrual earnings management with lesser manager's noise than in others. This study had the limit points that despite suggesting the useful evidences, a definition of debt characteristics was arbitrary and the income smoothing in this study was just one of many measures with weak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