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대학에서 전공 영어강의를 진행하는 것은 첫째, 대학교육의 수준향상과 함께 대학생들의 실력을 높이려는 것이고 둘째, 대학의 국제경쟁력을 높이고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하려는 목적일 것이다. 현재 많은 대학에서 영어강의를 늘려가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영어실력이 상대적으로 월등하지 못한 대다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특히 어렵다는 회계학 강의를 모국어 강의가 아닌 영어강의로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강의를 수강하게 된 동기가 무엇인지, 학업성취도나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성취도의 경우 수강 선택 이유에 따라, 영어강의수강 시 강의내용의 이해 정도에 따라, 본인의 수업 준비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의만족도의 경우 수강 선택 이유에 따라, 영어 자신감 정도에 따라 그리고 영어강의 필요성을 느끼는 정도에 따라, 강의내용의 이해 정도에 따라, 본인의 수업 준비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회계학 영어강의의 경우 학업성취도는 영어실력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가회계와 관련한 내용이해 및 스스로 학습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회계학 영어강의의 효율적 진행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우선, 선택의 여지가 없어서 수강하게 된 학생의 경우 학업성취도 및 강의만족도는 현저히 낮게 나타나므로 학교 및 학과에서는 선택 할 수 있는 강의를 마련해주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회계학 교육과정의 특성 상, 영어 100% 강의보다는 영어도 접하면서 회계학 전반에 걸친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영어-한국어 혼용강의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교수와 학생 모두가 사전에 준비를 철저히 하거나 영어와 한글 교재를 모두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수업시간 전에 준비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영어실력이 높지 않은 원가회계 영어강의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표본의 수가 넉넉하지 않아 연구결과를 회계학 영어강의 전반으로 일반화하는 것에 주의가 필요하며, 추후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영어 관련 특성뿐만 아니라 회계학 전반에 대한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회계학 영어강의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종합적인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The main reasons that universities implement and provide courses taught in the English language are the following. First, it is to increase in the students’ competencies by improving the university’s overall educational level. Second, it is to enhanc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university and also attract inbound international students. Currently, the trend of universities increasing its number of English courses is on the rise. This research focuses on students that have not shown exceptional English abilities, their motives behind taking English courses,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course satisfaction from taking accounting courses in English rather than their native language. The degree of course satisfaction shows varying statistical results based on whether or not the student had prior study experience, the confidence of the student towards the English language, and the students’ need for the course and studying level. In conclusion,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taking accounting courses in English is dependent not on the students’ English abilities, but ra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cost accounting course content and the students’ independent will to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fact that it was conducted on typical students that did not show exceptionally high English abilities. However, due to the sample size, caution should be taken when generalizing and applying towards all accounting courses. In the future,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students’ English capabilities and overall accounting subject matter, in order to derive a more comprehensive conclusion on the effectiveness of accounting courses delivered in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