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시민사회는 국가 및 경제 세계 외부의 공적 생활을 지속시키는 시민들의 다양한 집단, 네트워크, 제도들을 중개하는 사회적 영역이다. 그리고 시민문화란 이러한 시민사회의 가치 및 상징체계, 다시 말해서 사회 성원들간의 자유와 평등, 관용과 협동, 그리고 신뢰가 그 핵심적 가치가 되는 생활양식인 동시에 또한 그 생활양식의 행위의 기초가 되는 의미 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시민 문화의 기초가 되는 신뢰에 대해서는 경제적 번영과 관련하여 신뢰를 분석한 후쿠야마(F. Fukuyama)를 비롯하여, 사회적 자본의 개념으로서 신뢰를 중요시한 퍼트남(R. D. Putnam) 등의 이론이 있다. 사회학계에서도 1970년대 루만(N. Luhmann)을 위시하여 지속적으로 신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주된 관심은 시민 문화와 신뢰와의 관련성, 신뢰의 사회적 기능, 현대의 변화된 사회구조와 신뢰와의 관계, 신뢰 문화의 구축을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해야만 할 것인가 등에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우리 사회의 발전을 위해 시대적으로 더욱 요청되는 신뢰 문화의 중요성과 그 원인을 지적하는데 보다 많은 관심이 있으며, 시민사회/신뢰 문화에 대한 보다 정제(精製)된 후속 연구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작업에 불과한 것임을 밝혀둔다 기존 연구를 통해서 볼 때, 한국 사회는 공적 측면과 사적 측면 양자에 있어 신뢰가 확고하게 구축된 사회라고는 볼 수 없으며, 특히 공적 측면에서의 연고주의적 동원과 사회조직의 불투명성, 일관성 없고 불분명한 규칙 집행 등으로 불신이 지배적이라고 볼 수 있다. 게다가 개인 및 제도적 차원에서 만연된 무책임은 정보화 및 세계 지역화(glocalization)의 저항할 수 없는 흐름과 더불어 생활세계의 수준에서 신뢰 문화의 형성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그러므로 법을 중심으로 규범적 통일성을 확보하고, 사회조직의 투명성을 고양시키기 위해 정부와 기업 활동이 공개되고 가시적이어야만 하며, 이들 세력을 감시하고 견제하는 다원적인 독립 미디어 기관들과 센터들이 발달해야 한다. 그리고 ‘권력 거리’를 좁히기 위해 체계에 대한 ‘접근 점(access points)’들로 작용하는 정치‧경제‧금융‧의료‧교육제도 등에서 일하는 전문가들이 전문적인 능력과 확고한 책임 의식으로 그들 고객에게 관심과 배려를 베풀어야 한다. 또한 신뢰 문화의 형성을 위해서는 전통적인 ‘수치문화’에서 탈피하여 성찰적인 시민 의식을 지녀야 하며, 가족, 학교, 매스미디어 등의 다양한 사회화 기관들이 체계적으로 신뢰를 학습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re are several representative theories about trust, the foundation of civic culture, including Francis Fukuyama’s, which analyzed trust in relation to the economic prosperity and Putmam’s, which placed much importance on trust as a social capital. Starting with Luhmann in 1970’s, the academic circle of sociology has got more and more interested in the trust. Therefore, it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with changed society and the trust, the social function of trust as well as what we, the social members, can do to establish the trust culture. Accordingly the aim of this thesis is also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the changed social structure, the function of trust, and what is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trust for the true civic culture. In a case of Korean society, the public and private spheres are not firmly established yet, either. Especially, distrust is dominant in Korean public society due to the mobilization of nepotism, ambiguity of social organization along with inconsistent and obscure execution of regulations. Furthermore, the widespread irresponsibility at the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level, with irresistible power of information society and glocalization makes more difficult to establish the trust culture at the level of life world. Therefore, the activities of government and enterprises must be open and viable to secure normative unity centering around the law and to raise the transparency of social organization. Multiple independent media which observe and check the government and corporations have to be developed, too. And the professionals working in the field of the politics, economy, finance, medical treatment and educational system, functioning as ‘access points’, must also give interest and careful concern to their clients with professional ability and firm responsibility to narrow ‘power-distance.’ To construct trust culture, the social members have to keep introspected civil consciousness escaped from the ‘shame culture’ and develop diverse programs with which various socializing institutions such as family, school and mass media make the social members learn the tru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