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국제 영화제 공간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어 왔으며, 그 구조적 특성들은 무엇인지 탐구한다. 1990년대 중반 국제 영화제의 등장과 확산에는 한편으로는 세계화와 지방 분권화를 내세운 정부의 정책이, 다른 한편으로는 시민사회운동의 흐름이 작용했다. 전자는 ‘지자체 주도형’의 영화제 기획에 힘을 실어주었고, 후자는 ‘시민사회 주도형’의 영화제가 등장할 수 있었던 모태가 되었다. 새로운 세대의 성장은 적극적인 영화제 조직자 집단과 잠재적 수용자 및 자원봉사자 군을 형성함으로써 영화제가 증식할 수 있는 인적 기반을 제공했다. 하지만 지자체 주도형의 영화제들은 상업적 성공과 정치적인 이해관계를 최우선시하는 정치인과 행정관료들 때문에 문화적 자율성을 고질적으로 위협받고 있다. 법적인 장애와 정치적 압력을 극복해야 했던 시민사회 주도형 영화제들의 경우, 대중화의 어려움을 안고 있다. 미디어 보도 또한 미미해서 이들 영화제의 영향력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우리 사회의 국제 영화제는 앞으로 이러한 실질적인 문제와 한계점들을 극복하고 좀 더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국제 영화제는 국내 영화 산업이나 대도시 발전의 전략적 장소를 넘어서, 대중적인 국제주의가 구현되고 이미지로 이루어진 새로운 대안적 상징질서가 초국적으로 생성될 수 있는 현장이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examines historical form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that have sprung in Korea over the past 20 years. While the governmental policy of glob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in 1990’s offered the impetus for ‘local government- driven film festivals’, the emergence of new social movements became a matrix for ‘civil society-driven festivals’. In addition, the growth of ‘new generation’, who took ‘taste for film’ as an important stake for cultural distinction, constituted a potential audience for proliferating film festivals. However, social conditions of their development are not always encouraging. The cultural autonomy of local government-driven film festivals is chronically threatened under the influence of politicians and bureaucrats who regard the commercial success and practical benefits of festival as the most important value. Though civil society-driven festivals have overcome legal and political oppressions, they are yet confronting with the problem of ‘popularization’, owing partially to unfavorable media coverage. Government and media seem to be two main forces which deeply structuralize the space of international film festiv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