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재난 관련 ‘홍보성 정부 선전 보도사진’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사회문화적 상황을 통해 정치적 올바름을 찾으려는 ‘상호텍스트정치’의 시도이다. 본 연구는 재난관련 정부보도사진(세월호, 메르스, 가뭄)에 나타난 통치텍스트의 의미를 해체하고 텍스트 실천으로서 대항담론 형성 즉 ‘상호텍스트정치’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 문헌과 자료 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 조사에서는 정부보도사진 분석을 위한 문화 연구 이론 및 재난대응 관련 연구 자료를 살펴보았다. 자료조사에서는 재난 관련 정부보도사진(세월호, 메르스, 가뭄) 자료, 재난 관련 정부보도사진을 둘러싼 언론 자료, 포털 자료, SNS의 자료, 언론 만평 및 정부보도사진(세월호, 메르스, 가뭄) 발행 전후의 정치, 경제, 사회적 상황을 상호텍스트성의 텍스트 자료로 삼았다. 사회적 상황의 텍스트는 시기적으로 2014년 4월-2015년 9월 기간에 한정 되었다. ‘상호텍스트정치’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페어클라우의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을 변용하여 ‘상호텍스트정치’ 모형을 개발하여 텍스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재난 대응이 모두 정치적 이용에 도구화되었고, 비판적 설명이나 담론 예측 이후에도 정부의 또 다른 개입을 통한 통제가 나타난다. 재난 대응의 근본 문제 미해결 상태로 남아있으며, 재난사고가 정치 쟁점화 되는 이유는 특권층의 보호에 있고, 담론통제가 다시 강화되는 것은 정치적으로 수세적 상황이었음으로 설명되었다. 연구결과 일상에서 ‘상호텍스트정치’가 수시로 일어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is an attempt of “Intertextual Policy” in search of political correctness through criticizing governmental promotional propaganda- minded news photographs related to disasters and through sociocultural situations. “Intertextual Policy” intended to make a microscopic approach through semiotic analysis and a macroscopic approach through text criticism. Basic materials for this study were based on intertextuality- related articles and news regarding news photographs. The framework of research analysis followed the analysis model of “Intertextual Politics” proposed by the modified theory of Fairclough Norman(CDA), a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proposed text description, text deconstruction, text practice and discourse control. The result shows that governmental coping methods with disaster were all used as a political instrument. It also demonstrates that, even after critical explanation and discourse prediction based on the news photographs, the government exerts with control through another intervention. In sum, the fundamental problems of disaster coping still remain unsolved. The reason why disastrous incidents transform into political issues consists in the protection of privileged class. Also, the reason why discourse control is enhanced again is explained by defensive political situ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