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대학에서 이러닝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학습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의 과제가치, 학업소진, 학습만족도 및 학업지속의향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함으로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성과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자료분석은 2013년 1학기 수도권 소재 G대학교의 이러닝 수강생 312명의 자료로 수행되었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제가치는 학업소진에 부적 영향을, 학습만족도와 학업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학업소진은 학업지속의향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학업소진은 과제가치와 학업지속의향 사이를 매개하였다. 따라서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만족도와 학업지속의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과제가치 수준을 높이고, 학업소진 수준은 낮추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의 이러닝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ask value, academic burnout,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in an e-learning course. Data were collected from 312 students at G university during the spring semester of 2013.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ask value had a significant and negative impact on academic burnout. Second, task value influenced learning satisfaction positively. Third, task value influenced persistence positively. Fourth, academic burnout had a significant and negative impact on persistence. Fifth, academic burnout mediated between task value and persistence. These findings offer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an e-learning cou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