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다양성과 다문화가 사회와 조직에 큰 기회의 동인인 동시에 위험한 결과를 초래하는 양날의 칼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또한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 학습조직의 여부는 무형식 학습과 집단지성의 연계에 달려있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연구문제는 평생교육기관 구성원이 인식하는 다문화 수용성이 학습조직의 각 영역에 어떤 영향을 주고, 도출된 집단지성과 무형식 학습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첫째, 학습조직의 전 영역에는 다양성 차원인 ‘국민정체성’, 인프라 영역에는 보편성 차원인 이중적 평가, 시스템 영역에는 관계적 차원인 일방적 동화기대, 상호교류행동의지, 문화영역에서는 관계성 차원인 일방적 동화기대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조직의 문화영역이 인프라 영역과 시스템 영역보다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개인수준에는 ‘자발성’, 팀 수준에는 ‘팀 존중’, 조직수준에는 ‘비전공유’가 중요한 집단지성과 무형식학습의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를 통해 다양성 시대에 평생교육기관의 학습조직화를 위해서는 학습조직의 각 수준별로 집단지성의 방향과 무형식학습의 내용이 다르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시사점과 학습동기, 담화, 공유, 내재화의 과정을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제언한다.


This study started from awareness of problem that diversity and multiculture can be a double-edged sword which can be a dynamic of a great opportunity for this society and organization but can lead to dangerous result at the same time. Key to solving the problem depends on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 culture that is learned to embrace a diversity in other words, establishment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its basis relies on convergence of informal learning and collective intellig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preferentially irrespective of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are unilateral assimilation expectation(+). Second, When analyzing areas and levels of learning organization, it is revealed that cultural area should be considered placed before infrastructure area and system area and spontaneity is important factor in personal level and respect for team is important factor in team level and vision sharing is important factor in organizational level. It seem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inclusive culture embracing spontaneity, respect for team and vision sharing should be created to build learning organization suitable for age of diversity. informal learning and collective intelligence can be used as alternatives to create inclusive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