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교육학에서 표준적-설명적 패러다임에 대한 비판은 교육사회학에서 교수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런 비판이 구체적으로 비판적-구성적 패러다임의 내역을 채우는 데까지는 나아가지 못한 것이 그간의 현실이다. 예컨대, 학습자들을 교육에 부수적인 존재로부터 ‘학습자중심적’ 위치로 재설정하는 것이 대안적 패러다임을 구현하는 분명한 시도라는 사실에 누구나 동의하지만, 그 내용이 무엇인지, 현장에서의 실험들은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한 논의는 별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위치전환이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장을 세 가지로 유형화하고 각 심급별 특성을 정리한 후, 실천 속에 담긴 교육학적 의미를 탐색하여 이런 실험의 패러다임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학습주의적 연구서와 위치전환 실천경험의 해석학적 순환의 결과, 우리는 교육과 학습 개념의 근본적 변화와 개인의 자기진화 현상의 의미를 추출할 수 있었으며, 위치전환이 단순한 일회성 ‘실험’으로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제도’나 ‘역할’ 중심의 하비투스에서 벗어나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 및 활동에로의 몰입을 통한 존재론적 전환이야말로 학습자를 지속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조건임을 밝힐 수 있었다.


The critics to the explanation-centered standardized paradigm has diversified from educational sociology to teaching method. However, discourses for sophisticating the alternative paradigm is not enough to include the contents beyond critics. Although all the critical discourses are converged on the 'student-oriented attitude' in common, only a few theorists develop the concrete methodology or the meaning of this student-oriented attitude. This study aims at classifying the experiments of student-oriented practices into three categories and revealing the meaning of these practices which could be the base of alternative and constructive paradigm. Three main categories from lots of lifelong learning experiments are extracted: planning lifelong learning programs, participation as a lecture, and organizing spontaneous institute. Those are the activities switching 'traditional learner's position'. After the hermeneutics circle, this study disclo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experimental practices: subject-subject interaction in this practices instead of subject-object model, and integrated meaning finding process in learning. Also, it is possible to reveal the process of co-evolution which constructs self-organizing learning institute through the 'interactive authentic learning'. In order to establish and elaborate the alternative paradigm, it needs to change the habitus of education which is oriented to the 'role' of institution which lessens thinking of life itself. Changing habitus needs to involve 'ontological transition for learning' which drives factors for learning-oriented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