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식의 창출과 활용능력이 국부의 원천으로 중요하게 부각된 지식기반사회에서 기존 에 기업이나 기관 차원에서 다루던 인적자원의 개발과 관리를 국가적 차원에서 다루고자 하는 노력이 본격화되면서, 각국에서는 정부 부처나 부서의 이름에 '인적자원'을 사용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비록 세계 여러 나라들에서 '인적자원'이라는 용어를 공통적으로 사용하지만, 그 해석이나 운용방법은 각기 처한 현실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부 장관이 교육인적자원부 부총리로 격상되고, 대통령이 직접 ' 국가인적자원개발회의의 수장이 되면서 국가 차원의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관심을 표명해 오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인적자원개발은 어떠한 생각과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여기까지 오게 된 것인가? 이 논문은 지금까지의 국가인적자원 개발이라는 노력이 어떠한 시대적 사회적 맥락에서 전개되어 왔고 또 어떠한 맥락에서 전개되고 있는 것인지 이를 개념적으로 명료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관련자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인적자원개발이라는 국가적 사업을 가능하게 하는 기저이론이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그 주요이론은 인적자본론, 발전교육론, 수행공학 및 역량이론의 넷으로 정리 되었다. 둘째, 국가인적자원 개방의 변천과정을 탐구하였다. 우리나라의 국가적 차원의 인적자원개발노력은 지난 50년간 국가 산업의 발전단계에 따라 요구되는 인력을 양성하 고 공급하는 데 초점을 둔 교육정책에 의해 이루어져 왔으며 국가의 산업이 경공업, 중 화학공업, 첨단기술 및 지식기반 산업으로 점차 발전해감에 따라 교육정책도 문해 및 기초소양교육, 기술 및 직업교육, 고등교육의 양적 확대 및 질적 성장으로 변화되어 온 것으로 보였다. 셋째, 국가인적자원 제도의 성립과정을 살펴보았다. 제도화의 노력은 주로 2000년대 들어서서 본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인적자원개발관련 법과 제도가 마련되고, 회의기구가 설립되었으며, 대통령이 의장이 되는 국가인적자원개발회의의 지원기관으로 서 ‘국가인적자원 정책본부’의 출범까지로 이어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국가인적자원개발 이 지향해야 할 방향이 세계화, 지식기반 경제, 시장중심적 사고에 비추어 제안되었다.


In knowledge society where creation of knowledge is regarded as the core of nation's wealth and competitiveness, the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have started to use the term 'human resources' in their ministries or departments as a part of making an efforts to develop human resources. Although many nations share the word 'human resources,' the way of interpretation or application of it is diverse depending on their situations. The government in Korea has shown the interest 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national level, by promoting the Minister of Education to the Deputy Minister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and by the President taking the seat of the head in Committee for National Human Resources. Although innovative efforts for 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ave been found since 2000,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is efforts recently begun. Korea achieved dramatic economic growth for last 50 years. The reason of this growth was found in education for developing human resourc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ceptually the social context of implementing process in 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NHRD). This study consists of four part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policy development process of NHRD, institutional development process of NHRD, and future directions for NHRD. The research method is focused on documents and literature review. The main points of each part are as follows. First, human capital theory, educ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performance technology, and competency theory were reviewed. Three theories, except educ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were originally used to explai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personal or corporate level. However, all four theories were expanded to interpret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rom personal or corporate level to the national level. Second, the 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Korea was supported by educational policy to supply labors to meet the industrial needs for last 50 years. As the national industry was developed from labor oriented light industry, capital intensive heavy industry, technology intensive high tech industry to knowledge based industry, educational policies were also changed from literacy education, skill or technology focused education, the quantitative growth of higher education to qualitative higher education accordingly. Third, NHRD became the important issue in Korea and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in NHRD has got down to business since 2000. The human resources law and polices were established, the special committee was organized and the president became the head of the committee. Finally, the future directions for NHRD were suggested considering the needs of the present and future times. Firtst, NHRD policies should focus on developing human resources fitting for global standards. Second, the investment in research manpower by supporting research organizations 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be considered. Third, the government need to minimize the intervention and to focus on market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