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민간의 교육복지 실천이 제도화된 이후에도 운동성을 견지하는 하나의 사례’를 보여주고자 한다. 연구 질문은 ‘민간에서교육운동으로 이루어지던 실천이 정책으로 전환된 후에도 운동성을잃지 않은 모습이 어떠한가?’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서울의 한 지역에서 교육복지 운동 차원에서 진행된 민간의 실천들이 정책으로 제도화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 구체적인 양상을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들여다보았다. 연구 결과, 이 지역에서 교육복지 운동은 ‘깊이 있는 고민과 새로운방식을 통해서 주민이 주인이 되어 성장할 수 있는 지역을 만들어가는것’이다. 이 지역에서 교육복지 실천이 제도화된 가운데 살아있는 운동성의 특성은 1) 가치중심성, 2) 지속성, 3) 상호주체성, 4) 유연성, 5)질적 확장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민관협력으로 정책사업을 추진하는가운데 이러한 운동성을 견지할 수 있었던 이유는 지역활동가와 공무원이 삶의 터전인 ‘지역을 공유하는 삶’ 속에서 상호 신뢰 관계, 전문성의 공유 관계가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This research aims to show ‘a case where an educational welfare movementthat was conducted in the civil sector has been institutionalized and still keeps itscharacteristic as a movement’. The question is ‘how can an educational movementkeep its characteristic as a movement in the civil sector after it is institutionalizedas a public policy?’ To answer this question, the researcher selected a certainregion in Seoul and investigated the process where an educational welfaremovement that was conducted in the civil sector is institutionalized as a publicpolicy and looked into the details of this process in a specific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eople in this region define aneducational welfare campaign as ‘building a community where the residents have asense of ownership for this region and develop themselves with a deepintrospection and a new approa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policiesoriginated from educational welfare movements in the civil sector are 1) Value, 2)Continuity, 3) Mutual Autonomy, 4) Flexibility, 5) Qualitative Expandability. Theycould keep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educational movements in the course of thepublic-private cooperative policy making project because local activists and publicofficials established mutual trust and shared their expert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