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선후기의 한중 문인 교류의 양상은 매우 다양하지만, 크게 보아 세 가지 경향을 지니면서 전개되었다. 天涯知己로서의 교류, 문학적 소통을 위한 교류, 학예적 성격의 교류가 그것이다. 홍대용, 유득공ㆍ박제가, 김정희는 이 세 경향을 각기 대표하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 주목한 1828년의 연행 사절과 청대 시인 張際亮과의 교류는 그 중심 축이 인간(우정)ㆍ문학에서 학예로 전환된 뒤에 이루어진 것로서, 우발적이고 고립적인 교류 사례에 해당하였다. 그런데 장제량이 남긴 시와 조선측의 연행 기록을새롭게 조명해 볼 때, 이들의 교유는 매우 이채로우면서도 19세기 한중 문화교류사에서 특기할 만한 양상을 보여준다. 추사 김정희가 각별하게 주목했던 장제량은 조선 사신과의 만남에 심중한 의미를 부여하고 그 감회를 시로 표현하였다. 조선 사신 일행과의 만남과 이별을 장제량처럼 곡진하게 기록한 경우는 그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이다. 그는 북경을 떠나면서 「四别詩」라는 장편고시를 지었는데, 거기에 ‘别師’ ‘别友’ ‘别僕’ 편과 아울러 따로 ‘别使’ 편을 지어 조선 사절단과의 우정을 심도있게 술회하였다. 그는 고시의 긴 호흡을 차용하고 자신의 소회를 남김없이 호소함으로써 교유시ㆍ전별시의 상투성을 넘을 수 있었다. 그 점에서, 「四别詩」 ‘別使’ 편은 한중 문화 교류사에 또 하나의 奇峰을 창출한 것이라고 평가된다. 이 글은 장제량의 기록을 통해, 그동안 미상으로 알려졌던『赴燕日記』과 「서행록」의 작자가 李在洽과 金老商으로 비정하고, 양국 문인 간의 우정과 문학 교류 양상을 살펴보았다. 19세기 한중 문화ㆍ학예 교류가 대체로 중국 우세의 편향적 성향을 띠었던 것과는 달리, 김노상ㆍ이제흡과 장제량의 교류는 상호 소통의 호혜적 경향을 지녔다. 이들의 교유는 홍대용과 엄성에 비견되는, 19세기적 우정의 새로운 전형에 해당될만 하였다.


Exchange between Korean and Chinese literati in the late Chosun Dynasty was developed largely in three trends. The trends are exchange as distant friendship, exchange for cultural communication, and exchange of academic nature. Hong Dae-yong, Yoo Deuk-gongㆍPark Je-ga, and Kim Jeong-hee are, respectively, the representative figures of the three trends. This study focused on the exchange between the diplomatic mission to Yenching in 1828 and Qing poet Jang Je-ryang. This exchange was made after the transition of the central axis from friendship and literature to arts and culture. This case was an accidental and isolated exchange. When illuminated with poems left by Jang Je-ryang and records on the travel to Yenching written by the Chosun diplomatic mission, their association was very unique and noteworthy in the history of Korean-Chinese cultural exchange in the 19th century. Jang Je-ryang, who attracted the attention of Chusa Kim Jeong-hee, attached a special meaning to the meeting with the Chosun mission and expressed his feelings in poetry. Leaving Beijing, he wrote a long free verse titled Sabyeolsi. In the poem, he described his friendship with the Chosun mission by writing ‘Byeolsa’ separately in addition to ‘Byeolsa,’ ‘Byeolu’ and ‘Byeolbok.’ He overcame the conventionality of poems written in social associations and those for farewell through borrowing the long breath of free verses and exposing his thoughts exhaustively. In addition, through Jang Je-ryang’s records, this paper found that the authors of Buyeonilgi and Seohaengrok, which have been anonymous, are Lee Jae-heup and Geum Ro-sang,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