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주된 목적은 1960-1970년대 우리나라에서 벌어졌던 이른바 ‘순수참여문학 논쟁’에 대한 재탐사이다. 이 문학논쟁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더 이상 새로운 내용이 없을 성싶다. 하지만 우리는 다음과 같은 의문을 제기하면서 이 글에서 이 문학논쟁을 다시 한 번 검토하고자 한다. 실제로 이 문학논쟁의 기저에는 20세기 프랑스를 대표하는 참여작가이자 참여지식인이었던 사르트르의 <문학이란 무엇인가>가 놓여 있는데, 이 저서에는 전문 연구자들도 어렵다고 느낄 정도로 상당히 어려운 내용이 담겨 있어, 과연 이 문학논쟁에 참가한 들이 이 저서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논쟁에 임했을까 하는 의문이 그것이다. 특히 이 저서에 포함된 “타자를 위한, 타자에 의한 예술(문학)만이 있을 뿐이다”라는 문장이 이 저서의 이해를 가늠하는 열쇠에 해당하는데, 과연 이 문장이 그들에 의해 충분히 이해되었을까 하는 의문이 그것이다. 이 문장에서 볼 수 있는 ‘타자에 의한 예술(문학)’은 분명 사르트르가 문학에 부여한 종교성, 즉 문학을 통한 구원의 가능성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반면, ‘타자를 위한 예술(문학)’은 참여문학, 곧 문학이 갖는 해방적 기능과 이의제기 능력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두 측면은 순수참여문학 논쟁에서 제대로 고려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순수문학 옹호자들은 ‘타자를 위한 예술(문학)’의 측면을 경시했고, 참여문학 옹호자들은 반대로 ‘타자에 의한 예술(문학)’의 측면을 직시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문학논쟁을 <문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전제로 한 재검토의 필요성과 이 문학논쟁에 대해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에 대한 종합적 재평가의 필요성이 그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sit once again to the famous debate ‘pure literature-committed literature’ which took place in the years ’60-’70 in South Korea. One of the reasons why we decided to go back lies precisely in the fact that Qu’est-ce que la littérature?, Sartre’s central work that serves the basis of this debate, could not be understood on both sides that participated in this debate. In fact, this theoretical work contains in itself a very enigmatic statement : “There is only art for and by the others.” It could be rewritten in the context of literary theory : “There is only literature for and by the readers.”It seems that the first aspect of this statement corresponds to Sartre’s literary salvation, that is to say that of a pure literature or the literary religiosity and the second, that of literary engagement which emphasizes the emancipatory function of the act of writing. Nevertheless, these two aspects of Qu’est-ce que la littérature? could not be adequately captured by the participants of the debate ‘pure literature-committed literature’. Those who supported the pure literature have neglected the aspect of literary engagement of this book, namely that of ‘literature for the readers’, while those who claimed literary engagement have not done justice to the look of ‘pure literature’. From this stems indeed are derived two needs : the one is to visit once again to this debate which can be considered as one of our country’s morbid symptoms of ’60-’70 years and the other is to review the real history of this debate and reassess all studies about this deb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