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전문가 또는 전문가 집단은 자율규제를 자율성과 규준의 연언으로 이해하는 반면에, 일반 시민 사회는 감시와 처벌을 중시하는 규준의 개념으로 받아들인다. 전문가 집단과 일반 시민 사회의 이와 같은 틈은 자율규제의 효용성과 공공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불행한 결과를 초래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자율규제를 사회계약론적 관점으로만 해석할 경우 이러한계약 당사자들 간의 충돌과 갈등은 피할 수 없는 결과다. 따라서 이 논문은 전문직업성에서 자율규제의 개념을 분석하고 충성 또는 충심에 의거하여 자율규제의 도덕적 근거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것을보이기 위해 전문성의 자율규제 개념을 해명하고, 충심을 매개로 한 자율규제 개념을 보완할 것이다. 충심 개념은 결국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갖는공동체 속에서 구성원들이 서로 결속하고 연대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공동체에 대한 외부적 위협과 오해를 방지하고 해소하는데있어서도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문성 충심 개념이 전문직 집단의 자율규제의 실천적인 원리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그것의 구체적인 내용과 다른 덕성들과의 체계적인 관계를 규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Professionals or professional organizations understand self-regulation as a conjunction of autonomy and regulation. The public, however, view selfregulation as regulation which focuses on surveillance and punishment. Such a gap between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the general public results in unsatisfactory effects which warrant neither efficacy nor the public character of self-regulation. Indeed, it is an unavoidable result when we account for self-regulation only in terms of social contract theory. So,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and analyze the concept of self-regulation in professionalism and the moral foundation of self-regulation in virtue of the concept of loyalty. In order to complete this work, we, firstly, explicate the concept of selfregulation and then complement its concept in terms of loyalty. The concept of loyalty helps to combine and band the members of organizations and communities which form interdependant relationships. Besides, it prevents external threats and misunderstandings. Thus, we should study the specific contents of professional loyalty and its relationship to other virtues. If it is completed, then we can take professional loyalty as a practical principle for self-reg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