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권여선은 그간 과거에 고착된 인물을 중심으로 ‘기억’이 병리성의 증거가 아니라 ‘성숙’을 향한 절박하면서도 의지적인 희구임을 보여줌으로써트라우마 쓰기의 진경을 보여주었는데, 그 정점에 선 작품이 레가토(창비, 2012)이다. 과거의 망령에 시달리는 혁명 세대의 이야기라는 점에서권여선의 문학은 90년대 이후 진보주의 문학의 에토스로 자리잡은 ‘후일담’에 속한다. 그러나 그것은 세대적 나르씨시즘과 그것을 떠받치고 있는‘자기진정성’의 에토스(ethos)를 해체하는 자리에 서 있다. 이념적 공동체로부터 상처입은 여성의 몸과 성을 통해 기억의 진정성을 비틀고 교란한다는 점에서 후일담을 여성주의적으로 패러디하기 때문이다. 권여선의 글쓰기에는 ‘성’이라는 생물학적 숙명 혹은 사회적 굴레를 내파하기 위해 ‘제도적 여성성’의 규범을 이탈한 7-80년대 여성들의 세대적자의식이 투영되어 있다. 이들은 가족, 모성, 가내생산 양식, 재생산 등이성애 제도에 포획되지 않으려는 듯 정치의 광장에 뛰어들어 성차를 넘어선 우애어린 공동체를 지향한다. 그러나 근대국가는 물론이고 그것의대안으로 등장한 이념적 공동체 역시 내재성과 동일성에 집착해 몸과 성의 차이를 존중하지 않음으로써 성숙의 기획을 좌절당한다. 그러나 작가는 정치적 주체 정립의 좌절을 단지 실패가 아니라 주체의 취약성을 인정함으로써 타자에 대한 윤리적 책임감과 관계적 유대의식을 가진 정치적 공동체를 만들어내는 역설적 계기로 서사화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몸은 이성보다 열등한 것이 아니라 타인의 고통과 내가 묶여 있다는 것을 이해함으로써 일인칭중심의 행위주체성을 넘어설수 있는 윤리적 토대로 재의미화된다. 버틀러에 의하면 우리는 몸이 있기에 행위주체가 되기도 하지만, 역으로 타자의 폭력에 노출되어 상처입기도 한다. 몸은 타자와 나의 접촉면인 동시에 불가항력적으로 타자의 처분에 맡겨져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작가는 폭력의 가해자가 늘 상처없는승리자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관계성’이 우리 주체성의 본질을이룬다고 암시한다. 그간 주로 남성교양의 자질로 여겨져온 ‘우애’가 육체성을 잃고 지나치게 이념화되어 왔음을 비판하듯 작가는 다른 몸과 성을존중하는 새로운 정치적 공동체를 제안한다. 이 과정에서 80년 5월의 광주는 단순히 국가 폭력의 장소가 아니라 각자가 비워낼 수 없는 타자를애도함으로써 화해의 실마리를 마련하는 제의의 장으로 제시된다.


Gwon Yeo-seon has so far interpreted “memory” not as an evidence ofpathology but as ardent and volitional aspirations for “maturity” by mainlyfeaturing figures who are fixed on the past and has thus showed thequintessence of trauma writing, which are all culminated in Legato (ChangbiPublishers, 2012). The literary works by Gwon are categorized as“reminiscences literature” —which was later established as the ethos ofliberalist literature after the 1980s— in that they portrayed the generations ofrevolutions who are obsessed with the specter of the past. Her literature,however, stands at the location of disintegrating generational narcissism andthe ethos of ‘self-authenticity” that supports it. It is because her literatureparodies reminiscences literature in a feminist style by twisting and disturbingthe authenticity of the memory through the medium of the body and thegender of women who have suffered injuries from the ideological community. Gwon’s writing reflects the generational self-consciousness of the womenin the 1970s and the 1980s who had broken away from the norm of“institutional femininity” in order to destroy the biological destiny of thesocial bondage of “gender.” They enter into the arena of politics and seekfor a friendly community which is overcoming the differences of gender as if they would not get caught by the institution of heterosexuality such asfamily, motherhood, a mode of domestic production, and reproduction. Notonly the modern state but also the ideological community that emerged as itsalternative, however, has been deprived of their chances for maturity becausethey stuck to the principle of immanence and self-identity and therebydisrespected the differences of body and gender. The author, however, doesnot see the frustration over the establishment of political identity as a failure. Rather, she seeks for the narrativization of the frustration paradoxically as anopportunity to establish a political community that is ethically responsible forthe others and holds a sense of relationship by acknowledging theweaknesses of the subject. In the process, the body is by no means inferior to reason but — insofaras it is understood that one is bound to the pain of the others — isre-signified as an ethical foundation on which a subject can overcome thefirst person-oriented behavioral subjectivity. We can be a behavioral subjectbecause we have a body, but, reversely, can be exposed to the violence ofthe others and get hurt. The body is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others butis irresistibly exposed to the decision of the others. The author implies thatthe “relationship” is the essence of our subjectivity by showing that theassailant of violence is not always the painless victor. As she criticized thatfriendship — having been regarded as the qualification for men’s refinement— had lost its corporeality and had been too excessively ideology-oriented,Gwon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a new political community that respects the body and the gender of the others. In this process, Gwangju in May1980 is not a location of state violence but a stage of ritual where peoplecan reconcile together by mourning the others whose image they cannoteasily wipe out in their mem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