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review the history where Koreans and Taiwaneses were forced to change their names to Japanese-style nam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renaming policy was not only to change the names of Koreans and Taiwaneses to Japanese-style names but also to change their family systems to Japanese-style family and surname systems. Korea was remarkably different from Taiwan in relation to execution of the renaming polic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ttempted to change Koreans’ surname system to Japanese system from the late 1910s,but it could not be easily enacted due to Koreans’ opposition and the collision against their traditional family system. Contraril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Taiwan began to change Taiwanese family units in accordance with Japanese civil law from the early 1930s, in cooperation with administrative agencies and the machinery of law. Moreover, it announced that Taiwanese surname system is equal to that of Japan. The reason why the renaming policy was executed more easily in Taiwan than in Joseon was that Taiwanese custom was more suitable for Japanese civil law. The Japanese government forced its colonies to supply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more strongly after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and then the mood for renaming was built up. In 1939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amended Article 11 of Joseon Civil Affairs Ordinance, and legally forced Koreans to change their surnames and even forenames, and moreover administratively cracked down on Koreans who did not change their names. In Taiwan where the Japanese-style surname system was being already putted in forc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Taiwan allowed the use of Japanese-style surnames and forenames,catching up with that of Joseon. Unlike in Joseon,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Taiwan formulated internal regulations and allowed specified Taiwaneses to use Japanese-style surnames. The reason why Korea was different from Taiwan in execution of the renaming policy was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kinship and common law.


이 연구에서는 조선과 대만의 창씨개명․개성명을 비교사적으로 검토하였다. 식민지 조선과 대만에서 시행된 창씨개명․개성명은 개인의 성명을 일본식으로 바꾸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창씨개명은 개인의 성명을 일본식으로 바꾸는 것이기도 하였으나 전통적인 가족제도를 일본 민법의 ‘家’ 및 氏 제도에 맞게 개편하는 것이기도하였다. 조선인과 대만인에게 창씨개명을 시행하는 절차와 방법 등은 식민지 관습의 특수성에 의해서 영향을 받았다. 조선총독부는 1910년대 후반부터 조선인에게 일본 민법의 씨 제도를 시행하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나 조선인들의 반발과 전통적인 가족제도와의 충돌 때문에 쉽게 법제화하지 못하였다. 이에 비해서 대만총독부는 1930년대 초반부터 행정기관과 사법기관 등을 동원하여 대만의 ‘家’를 일본 민법에 맞게개편하고 더 나아가 대만인의 姓 관습이 일본 민법과 동일하다고 선언하는 등 일본의 씨 제도를 사실상 시행하였다. 대만이 조선보다 씨 제도를 일찍 시행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는 대만 姓 관습이 일본 민법으로 전환하기에 좀 더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에서는 1937년 중일전쟁 이후 일본정부가 각 식민지에 대하여 인적․물적동원을 강하게 요구하면서 창씨개명을 시행할 수 있는 사회적․정책적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조선총독부는 1939년에 조선민사령 제11조를 개정하여 조선인들에게도씨 제도 시행을 법으로 강제하고 더 나아가서는 일본인식 씨명으로 변경하도록 행정적으로 단속하였다. 조선총독부가 씨 제도와 함께 일본인식 씨명도 조선인에게 강요하자 대만총독부도 일본인식 씨명의 사용을 허가하였다. 다만, 조선과는 다르게내부적으로는 허가조건을 마련하여 일부의 대만인들에게만 일본인식 씨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조선과 대만에서는 씨 제도의 시행시기와 방법 등에서 차이가 있었고 일본인식씨명의 시행 방법도 큰 차이가 있었다. 대만에서는 씨 제도를 신관습이라는 이유로별도의 입법절차도 없이 시행하였고 또한 일정한 조건을 충족한 자들에게 일본인식의 개성명을 허가하였다. 이에 비해서 조선에서는 법적 수단을 동원하여 강제적으로씨 제도를 시행하고 일본인식으로 씨명을 개정하도록 단속하였다. 조선과 대만 구관의 차이와 함께 각 총독부의 관습법 정책의 차이 등에서 비롯되었다. 대만총독부는 신관습 정립의 방법으로 일본 민법의 제도를 대만인에게 이식하려 했으나 조선총독부는 일본 민법을 직접 의용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따라서 대만의 경우에는 대만 구관에 영향을 받아서 일본 민법도 일정하게 변형하여 시행하였으나 조선은 일본 민법의 조항을 그대로 시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