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근대로 들어서면서 청일전쟁 이후 국제관계의 격동적인 변화로 인해 한국은 전통적인 중화문명권에서 탈피하여 서구적 문명의 성격을 띠는 일본을 문명개화의 모델로 삼았으며, 언어생활과 지식체계의 변동을 겪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국외로부터 수입하거나 번역한 서적 및 국내에서 출판한 서적은 이전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한 시대의 서적을 고찰해 봄으로써 그 시대의 지식체계와 정신세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그 시대가 근대를 향해가며 추구했던 가치와 지향점 또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당시 전환기에 놓여있던 한국에도 해당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서적학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황성신문의 광고에 게재되었던 서적을 망라하여, 분류․통계 등의 종합적인 분석과 당시의 서적이 집중적으로 다루었던 테마와 담론을 통해서, 그 시대의 지식체계 변동과 아울러 당시 지식인들이 추구했던 문명관 및 근대성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Entering into modern, especially after the Sino-Japanese War, because of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relations, Korea escaped from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circle, and regarded Japan which assumed a character of western culture as the model. At the same time, Korea witnessed a change of language and knowledge system. So, books which were imported or translated or published directly in domestic differed from the ones before. Studying the books of some particular period is a good way to access to the knowledge system and mentality of that historical period. And can also inquire into the definition and value about modernism of that time. Especially for Korea which was in Modern Transition.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of Bibliography, this paper will collect information of the books which appeared in the advertisements of Hwangsongshinmun (Hwangsong Daily Newspaper), and then through classification, statistic and comprehensive analysis of those books, to have a look at the themes of the books and contents which were discussed. By this task, we can figure out the change of knowledge system of this period, and comprehend what was thought as civilization and modernism by the intellectuals of tha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