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고는 중국 明代 末期 講學의 다양한 양상을 시야에 넣으면서 이 시기에 활동한 蕺山 劉宗周(1578~1645)의 유교 講學 활동에 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즉 劉宗周 자신의 학문 발전단계 및 講學 시기를 초기와 중후기로 나누고 단계별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劉宗周가 陽明學 좌파의 이론을 배제하면서 ‘주자학․양명학 절충론’이라는 학문세계를 어떻게 구축하게 되었는지, 또 그 자신의 그와 같은 학문세계 구축의 토양을 講學 활동 참가 및 지역의 학술교류라는 시점으로부터 생각해 보았다. 講學 시기 劉宗周의 활동 양상과 인적 네트워크 혹은 학술 네트워크는 후대 蕺山學派를 형성케 해준 하나의 계기가 된 것만은 사실이다. 또 명말청초기 劉宗周 후학들이 江南 浙東學派의 연원 및 계보의 정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문제의식을 양성한 토양으로서 劉宗周의 講學 활동을 파악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논고에서는 우선 明代 末期의 유교 講學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미리 살펴보고, 劉宗周의 講學 시기를 초기(1604년 전후)와 중기(1622년 전후) 및 후기(161년 전후)로 나누어 초기(東林書院 시기)와 중기(首善書院 시기)에서의 講學 참가 경험과 제 양상 등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후기의 證人書院 시기를 다루면서 그 講學의 제 양상과 증인서원의 두 주역 劉宗周와 陶奭齡의 학문적 성향, 그리고 그와 같은 학술적 경향에 따른 최후의 결별 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looked into various asp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late Ming dynasty of China and aimed to review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onfucianism by Jishan Liu Zongzhou (1578~1645) active in this period. In other words, it divided the stages of his own academic developm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period into early, middle and later stages and inquired into each stage. Through this, it inquired into how Liu Zongzhou constructed an academic world of ‘a compromise between Zhuxiism and Yangmingism,’ excluding the theory of the left wing of Yangmingism and the soil for him to build the academic world in terms of particip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local academic exchange. It is true that, during his teaching and learning period, at least, the aspects of Liu Zongzhou’s activities and social or academic network were an opportunity that allowed the formation of the Jishan School to posterity.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of Liu Zongzhou as the soil that cultivated a critical mind in Liu Zongzhou’s younger students so that they can secure legitimacy of the origin and genealogy of the Jiangnan Zhedong School during the Mingmo-Qingchu period. Thus, this study, first, inquired into how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onfucianism developed in the late Ming dynasty, divided Liu Zongzhou’s teaching and learning period into early stage (around 1604), middle (around 1622) and the later part (around 1631) and investigate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teaching and various aspects in the early stage (Donglin Academy period) and the middle stage (Shoushan Academy period). Then, dealing with the Zhengren Academy period in the later stage, it looked into various aspects of its teaching and learning, academic tendencies of two leading figures, Liu Zongzhou and Tao Shiling of Zhengren Academy and the process of their final breakup due to such academic tr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