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동북아 왕실 제사음악의 원형을 전하고 있는 것으로 주목 받고 있는 한국 문묘제례악(음악에 한함)의 연원과 그 제정 원리를 조명한 것이다. 한국 문묘제례악의 연원은 『세종실록』 「악보」에 소재한 두 악보, 즉 세종이 제정한 제사 <아악보>(144곡)와 그것의 참고 악보로 수록된 <원조임우대성악보(元朝林宇大成樂譜)>(열여섯 곡)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전자는 세종이 중국 주대의 아악을 모델로 삼아 당시 흐트러진 아악의 일대 정비를 단행한 후 제정한 신제 제사아악 144곡을 수록한 악보이다. 후자는 그 제정에 참고가 된 열여섯 곡을 수록한 악보로서 중국 문묘음악인 동시에 세종 제사악보의 모체가 되었다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양자의 비교 고찰을 통해 현행 문묘음악 여섯 곡의 직간접적인 연원을 밝히는 데 첫 번째 목적이 있다. 그런데 세종은 임우의 열여섯 곡 가운데 열두 곡만을 선택하여 조선 제사아악의 핵심이 되는 열두 곡의 ‘황종궁’을 제정하는 데 활용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종이 선택한 열두 곡 혹은 선택하지 않은 네 곡의 기준(혹은 특이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임우의 열두 곡과 이를 토대로 제정한 세종의 열두 곡 각 곡들 사이에 발생한 차이에 주목하여 세종이 그러한 변화를 시도한 불가피한 이유를 밝히는 동시에 이 열두 곡을 조옮김하여 나머지 곡(132곡)을 얻는 과정에서 발생한 음악적인 사건들을 고찰하여 조선 제사아악의 제정 원리를 밝히는 데에도 목적을 두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origin and principle of how to make Munmyo Jeryeak which is considered as an prototype of royal ritual music for Confucius in Northeast Asia. When King Sejong composed this music, he referred to Chinese royal musical notes made by Linyu of Yuan Dynasty. Even though he heavily relied on Linyu’s music, Sejong did not follow Linyu’s music as it is. In this paper, I try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musics of Sejong and Linyu in various perspective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origin and principle of how to make Munmyo Jeryeak which is considered as an prototype of royal ritual music for Confucius in Northeast Asia. When King Sejong composed this music, he referred to Chinese royal musical notes made by Linyu of Yuan Dynasty. Even though he heavily relied on Linyu’s music, Sejong did not follow Linyu’s music as it is. In this paper, I try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musics of Sejong and Linyu in various perspec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