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나라 헌법재판소는 기본권의 침해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중요한 심사기준으로서 비례의 원칙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선거권과 관련한 사건에서는 자주 제한되는 기본권을 혼동하거나 비례의 원칙으로 심사하기에 부적합한 사건을 비례의 원칙으로 판단하는 경우가 있었다. 선거권과 관련된 사건에서 비례의 원칙을 심사기준으로 사용하기 부적합한 경우가 많으므로, 비례의 원칙에 의한 심사보다는 헌법상 선거원칙에 의한 심사가 바람직해 보인다. 선거권과 관련한 사건에서 비례의 원칙으로 심사하게 되면 침해의 최소성과 법익의 균형성 부분에서 논증하기 어려운 딜레마에 부딪히게 된다. 또한 실제 사건에서는 선거권의 제한 및 침해의 문제라기보다는 선거권의 박탈에 이르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헌법상 비례의 원칙으로 심사하기에 부적합하다. 보통선거원칙, 평등선거원칙, 직접선거원칙, 비밀선거원칙, 자유선거원칙이라는 중요한 선거원칙이 선거와 관련한 헌법재판에서 심사기준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Korean Constitutional Court has been used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san important review criterion in determining whether the infringement offundamental rights. However, there are few wrongs with respect to suffragecases, they frequently confused with limited rights or judged inadequate casesa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Becaus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o use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s screening criteria in cases related in theright to vote, the cases should be examined by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election. If cases of infringement in relation to voting rights are judged by the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t could encounter a dilemma that is difficult tobe proved in parts of minimum infringement and a balance between legalinterests. In addition, actually these are more of the case of disfranchisementthan the case of the limitations and violations of the right to vote. Therefore,It is not suitable to determine with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proportionality. Detailed screening criterions and contents should need to be established forprotecting important principles of the election; Principles of universalsuffrage, equal electoral principle, the principle of direct elections, secretballot principle and the principle of free el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