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김대중 정부 이래 노무현 정부에 이르기까지 활발하게 제기되고 있는 국내의 학자나 지식인들의 한국 보수주의에 대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과연 그들이 보수주의를 자유민주주의 및 시장경제에 대한 지지와 탄탄히 연계시키고 있는가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보수 언론이자 보수 세력의 이론 무장에 앞장서고 있는 월간조선에 게재된 논문들을 주된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과정에서 논의의 엄밀성을 위해 민주주의와 자유주의를 분리시켜 다룸으로써 각 사상과 보수주의와의 관계 속에서 보수주의의 내용을 보다 명확히 드러내고자 하였다. 또한 이 작업은 서구 보수주의와의 비교대조를 통해 수행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파악된 한국 보수주의의 특성을 간략히 정리하고, 최근 한국 정치현실의 전개에 비추어 한국 보수주의가 지닌 문제점을 지적함으로써 이 논문을 마무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current conservatism in Korea seeks to forge a viable link to liberal democracy by analyzing conservative discourses raised lively by conservative writers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Kim Dae-Jung government. To do this, the paper analyzed articles published in the Monthly Chosun(Wolgan Chosun), a representative conservative magazine that seeks to equip conservatives with ideological weapons. To conduct the analysis with logical precision, the paper separated liberalism and democracy, and examined their respective relationships to conservatism, so that the true picture of current conservatism in Korea could be brought into sharp relief. The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by comparing Korean conservatism with the Western counterpart. Finally, after summarizing the outcome, then the authors suggested some problems of Korean conservatism in light of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