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근대적 매체의 등장과 함께 나타나기 시작한 문체 선택 및 분화의 양상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신문 발행이 본격화되기 이전의 초기 매체인 ≪한성주보≫와 ≪한성신보≫에서부터 하나의 지면 안에 국한문체 또는 순국문체가 동시에 사용되는 문체 분할의 양상을 노정하고 있음을 논증하였다. 그리고 비슷한 시기에 단행본 서적에서도 유사한 형태로 문체 선택 및 분화의 양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논의 결과는 한문으로부터의 이탈과 자국어에 기반한 문체로의 지향이 1880년대부터 시작되었고, 그러한 지향과 시도들이 이후에 등장한 매체의 문체 선택 및 분화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시사한다. 아울러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일련의 현상들과 근대적 서사 양식인 소설의 형성 과정이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따라서 근대적 문체의 정립 과정은 매체의 문체 선택 및 분화 양상과 그 연속적 전개 과정에 대한 통시적 고찰로부터 파악될 필요가 있으며, 논의 대상 역시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 논문의 결론이다.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aspects of stylistic choice and specialization began to appear with the advent of the early modern media. In particular, it is proved that the aspects of stylistic division appeared at the previous early media of ≪HANSUNG JUBO≫ and ≪HANSUNG SHINBO≫. To put it concretely Korean-Chinese and Korean style was used at the same time in the same space of them. And it is discovered that similar patterns appeared at the previous early book publications. These results can be clued that the orientation of departure from the Chinese and the style that based on the native language began in the 1880s, such attempts have affected on the stylistic choice and specialization of the media appeared at a later period. In this paper, it is demonstrated that such as a series of phenomena and the formation of the novel as a modern narrative form were interrelated. Therefor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modern literary style is required to be identified from a diachronic study on stylistic choice and specialization of the early modern media, and the process of continuous evolution. It is the conclusion of this discussion paper should also be extended targ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