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대표적인 명제 태도 문맥인 믿음 문맥은 자연 언어에 대한 체계적인 의미 이론의 수립에 어려움을 야기하는 요소이다. 문제의 근원은 우리가 믿음 문맥을 사용할 때 체계적인 애매성이 발생한다는데 있으며, 러셀의 기술이론은 믿음 문맥 내 언어 표현의 일차 발생과 이차 발생을 구분함으로써 그러한 애매성의 양상을 비교적 적절히 지적하고 있으나, 그런 애매성의 근본 성격과 해결 방안을 적절히 파악하지 못했다. 브랜덤은 추론주의 의미 이론에 따르면, 그러한 애매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의미론과 화용론 그리고 표상적 어구들 간의 관계를 올바로 이해해야하고, 우리의 일상적 표현 방식에서 최소한도의 조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렇게 제대로 믿음 문맥의 애매성을 파악하고 나면, 의사소통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사회적 갈등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Belief context, one of the so called propositional attitude contexts, is a troublesome locution that gives rise to many difficulties in an effort to build a general theory of meaning for natural language. A source of the difficulties is that, when we use a locution of belief context, the ambiguity of meaning systematically occurs. Bertrand Russell’s theory of description properly indicated the unique aspect of that ambiguity by distinguishing primary and secondary occurrences of expressions used in belief context. However, Russell could not correctly grasp the underlying causes of the ambiguity. As a result, he could not suggest a proper solution for the problem. According to Robert Brandom’s inferential theory of meaning, in order to properly deal with such a matter, we have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relations among semantics, pragmatics and representational locutions. Then, based on that understanding, we should place a little regimentation on the way we ordinarily use the locution of belief context. Once we achieve such a goal, we can avert many of verbal disputes that occur during communication, and consequently save a large amount of unnecessary social confli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