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제6차 장애인고용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장애인 수급자를 대상으로 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탈피 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남성이 여성에 비해서 수급탈피 의향이 높으며, 고등학교졸업이상의 학력이 중졸이하의 학력에 비해 수급탈피의향이 높고, 고용서비스경험이 있을수록 수급탈피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연령이 높을수록 수급탈피의향이 낮으며, 장애유형이 정신장애일 때는 신체외부장애에 비해서 수급탈피 의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고용서비스경험이 수급탈피의향에 미치는 효과는 학력이 높을수록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토대로 장애인의 수급탈피 의향을 고양하기 위한 근로연계복지정책 강화, 교육 접근성 제고, 고용서비스 확충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analyz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s of recipients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with disability to break away from receiving the social welfare services using data of the 6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and explores policy implica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a high level of education positively influences intention of recipients to break away from receiving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nd a rise of age negatively influences.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job training and the number of certificates positively influence intention of recipients to break away from receiving servic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reinforcing welfare to work policies, enhancing access to education, and expending programs for job training in order to promote intention of recipients to break away from receiving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