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보험 가입자와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차이와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의료이용이 삶의 질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료패널자료를 활용하여 대상에 따른 의료이용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현황 및 특성, 그리고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외래 이용횟수, 입원일수, 응급 이용횟수 등은 건강보험 가입자에 비해 많은 반면,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료이용 정도가 많을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아지지만, 의료보장유형과 이용횟수의 상호작용효과는 존재하지 않았다. 다만 의료보장유형과 총 진료비의 상호작용효과는 검증되어, 건강보험 가입자와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총 진료비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의료급여 수급권자가 의료서비스의 접근성 제약으로 인해 적시에 치료를 받지 못한 결과이며, 이들의 치료지연을 방지하고 삶의 질 수준의 향상을 위해 비급여 부담을 줄이고 의료보장성 강화 및 예방적 의료서비스의 확대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the insured in National Health Insurance(NHI) and the recipients in Medical Aid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health-care utilization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the empirical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using the Korea Medical Panel Data of 2011. The recipients in Medical Aid Program have more health-care utilization including out patient utilization frequencies, hospital days, and emergency use frequencies, however the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s lower than the insured of NHI. And the more health-care utilization, lower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s also confirmed.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of total health-care expenditure and types of health-care system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is is the result of that the recipients in Medical Aid Program did not receive a timely treatment due to the access constraints of health-care services. Therefore, the expansion of health-care system and preventive health servic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health accessibility among the poor and near poor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