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생존의 수단인 동시에 자율적인 자기실현의 기회이기도 한 인간의 노동은 오늘날 두 가지의 시련, 즉 대량 실업과 노동 소외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다시 말해 노동 인구의 상당수는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할 기회를 얻지 못하여 절망하고 있고, 또 다른 상당수는 인격의 자율성과 심신의 건강을 심각히 저해하는 노동 조건으로 고통받고 있다. 문제는 이 두 가지 시련에 대처할 수 있는 공적ㆍ사회적 행위의 규준들을 우리가 아직 갖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전통적인 프로테스탄트 노동 윤리는 대량 실업과 노동 소외라는 ‘구조적인’ 질곡과 그것의 극복에 관심을 기울이기보다는 오히려 그러한 질곡의 희생자인 노동자들의 ‘개인적인’ 분발을 촉구해 왔을 뿐이다. 그러한 윤리에 따르면 노동은 설령 노동자의 자율성을 저해하고 그의 심신을 피로의 극단으로 몰고 가는 혐오스러운 고역일지언정 하나님의 소명이자 은총의 시험임에는 틀림이 없다. 따라서 그것은 그러한 질곡 앞에서 무력할 수밖에 없는 수많은 노동자들에게 오직 부지런히 일해야만 한다는 무조건적인 의무를 과할 뿐, 그들을 온당한 권리의 주체로서 배려할 수는 없다. 그렇다면 근면이라는 외형에 최우선을 두는 윤리는 노동 기회의 현실적인 보장과 노동의 실질적인 내용을 중시하는 모종의 사회 윤리로 대체되어야만 한다. 논자는 이 논문에서 그러한 새로운 노동 윤리의 가능성을 ‘노동의 기회’와 ‘노동의 질’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비판적인 사회 윤리의 관점에서 타진해 볼 것이다.


Our work is, in essence, a means of our living and an opportunity of our autonomous self-realization. But it is now faced with two serious trials, mass unemployment and work alienation. Namely, the considerable proportion of the whole work force is being driven to despair because of the scarcity of the opportunity to work, and its majority is suffering from the working conditions which ruin the personal autonomy of workers and injure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e problem is that we don't have the canons of public and social action, with which we can cope with those trials yet. The traditional Protestant work ethic has not been concerned about the solution of such structural troubles, but only has stimulated their victims, workers to exert themselves more and more. According to such an ethic, work must be a God's calling and a test of his grace, although it is an abominable toil which ruins workers' autonomy and extremely exhausts their mind and body. For that reason, such an ethic imposes an absolute duty to work diligently on numerous powerless workers, but never considers them as the proper subjects of human rights. And so it must be replaced with a certain kind of social ethics which attaches importance to the substantial ensuring of the opportunities to work and the quality of work life. In this paper, I will grope for the possibilities of such a new work ethic from the viewpoint of a critical social ethics, focusing on the two themes of 'the opportunity to work' and 'the quality of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