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하여 조직문화와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이 어떠한 관계를 가질 수 있는가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조직원이 지각하는 조직문화를 유연성을 강조하는 조직문화와 통제를 강조하는 조직문화로 크게 분류하여 이러한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검증하였다. 또한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의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에 대한 기존 연구(Kirkman and Rosen, 1999; Sigler and Pearson, 2000)를 확장하기 위해 임파워먼트의 유형을 조직에 대한 본인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의 정도와 본인의 업무에 대한 의미에 대한 인식의 정도로 특정하여 그 매개역할을 측정하였다.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직급의 12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유연성을 강조하는 조직문화와 통제를 강조하는 조직문화는 모두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유연성을 강조하는 조직문화가 좀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유연성을 강조하는 조직문화는 통제를 강조하는 조직문화에 비해조직에 대한 본인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임파워먼트에 대한 인식은 조직문화와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의 관계에 있어서 정(+)의 부분매개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유연성을 강조하는 조직문화와 임파워먼트간의 긍정적 관계, 그리고 임파워먼트와 조직유효성간의 긍정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경영현장에서의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mpowerment. Especially, prior studies have shown that empowerment mediates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we confirm that organizational culture focusing on flexibility has more positive impact on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that focusing on control has. However, the organizational cultures that are perceived to be focusing on flexibility and control, respectively, have somewhat mixed impacts on empowerment. Lastly, empowerment positively and partially mediates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dividual-leve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ea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