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영어 쓰기활동에 대한 필요분석, 교과서 쓰기활동에 대한 선호도 조사, 교과서 분석등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을 위한 장르중심접근법에 기초를 한 쓰기활동을 개발하여 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5학년 학생 77명과 6학년 학생 61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5학년과 6학년 영어 교과서의 쓰기활동이 분석되었다. 우선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듣기, 말하기, 읽기에 비하여 초등학생들은 대체로 쓰기 활동을 좋아하지 않았으며쓰기활동에 흥미를 보이지도 않았다. 교과서 쓰기활동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5학년 1학기 쓰기 활동은 교과서 내용과 깊게 접목되지도 않았으며 음성언어로 3-4학년에서 익힌 단어를 알파벳순으로 익히기 위해 본시 학습단원의 내용과 무관한 단어 쓰기 활동으로 이루어졌으며 6학년 1학기 교과서에서의 영어 쓰기 활동은 5학년 쓰기 활동보다는 교과서 내용과 접목이 되고 있으나 단순히 음성언어로 익힌 내용을 문자언어로 강화하는 수준의 쓰기 활동을 벗어나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들에게 영어 쓰기활동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켜주고 쓰기활동역시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의 하나라는 것을 알려줄 수 있도록 유의미한 맥락 속에서 쓰기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장르의 개념이 도입될 필요가 있음을보여주고 있다. 이를 위해 현재 교과서에 제시된 쓰기 활동을 초등학생들을 위한장르중심적 영어 쓰기활동(예: 일기 쓰기, 신문 만들기, 초대장 만들기, 나의 일과표 만들기, 편지쓰기, 책 만들기 활동)으로 변형한 쓰기 활동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ffective genre-based writing activit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seventy-seven 5th graders and sixty-one 6th grader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students' interest in writing and their preference for writing activities. Also, writing activities presented in the current English textbook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ndicat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d not like writing activities compared to other activities such as listening, speaking and reading. Besides, the students did not show any interest in writing activities even though the activities were not difficult for them.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textbook analysis showed that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need more meaningful, interesting and more genrebased writing activities, rather than providing simple copying and sentence completion writing activities. Based on the data analysis, some guidelines for developing genre-based writing activities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