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유라시아 연구를 위한 방법론 논쟁에 대해 좀 더 그럴듯한 대답을 독자들에게 들려주고자 한다. 유라시아 지역연구를 위한 방법론 논쟁은 역사적 접근법, 문화주의, 문명주의, 지정학적 접근법, 제도주의 그리고 구조주의 등에 의해 경쟁되어 왔다. 게다가 오늘날 급변하는 정세 속에 유라시아 지역 변화의 다양성은 또 다른 방법론 논쟁을 자극한다. 이에 이 글에서는 유라시아 지역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실천으로 ‘지역’의 범주와 비교지역연구의 적정 수준 그리고 실천적 비교분석기법 등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이 글이 주장하는 바는 유라시아 지역연구를 위한 설명범주로서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창조적 통섭이 이루어지고, 분석목적에 상응하는 ‘지역' 개념을 수립하고, 교차-지역적 비교, 지역내-비교, 그리고 국가별 분석 등 추구하고자 하는 개념화의 유형에 맞게 직정 분석수준을 선취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readers with a more plausible answer to methodological debates concerning the Eurasian Studies. The Eurasian Area Studies has been driven by the competition in which historical-, culturalist-, civilization-, geopolitical-, institutional-, and structuralist approaches represent different perspectives and explanations. In addition, given the diversity of regional challenges to Eurasian area, associated with the dramatically changing political conditions in the world, it leads us to the additional methodological debates. As such, this article explores the scope of ‘area' or ‘region', the appropriate level of analysis, and the analytical tools of comparison as a part of an action plan for the Eurasian Area Studies. Ultimately, the author argues that it is time for the creative consilience betwee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o be advanced as a significant category of explanation in the Eurasian Area Studies. In addition, we need to reestablish the concept[scope] of area[region] with relevant to the objective of analysis, and to opt out an appropriate level of analysis in association with the type of conceptualization such as cross-area[region] comparison, within-area[region] comparison, and national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