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인도네시아 공화국 성립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국민윤리교육의 목표 및 정치문화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수카르노와 수하르토 정권은 국가철학인 빤짜실라(Pancasila)를 교육의 철학적 기반으로 삼아 자유주의를 거부하고 공동체주의적 시민관을 강조하였다. 빤짜실라의 담론을 통한 국민윤리교육은 강도 높게 대중을 억압하기 위한 목적의 정치교육이라 할 수 있다. 이후 자유민주주의 시대에 본격적으로 민주국민윤리교육이 실시되기 시작하였는데, 이 교육에서는 대폭 확대된 시민의 권리, 활발한 대중의 정치 참여, 민주시민 및 세계 시민으로서의 역할과 의무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빤짜실라는 자유민주주의와 더불어 국민윤리교육을 지지하는 주요한 교육의 철학적 기반의 하나로 기능하고 있는데, 이것은 세계화와 지방분권화 추세 속에서 빤짜실라의 담론을 통하여 공동체주의를 함양하여 지나친 자유주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로칼 권력과 세계경제의 무책임하고 비민주적 행태를 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분석된다.


This article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goals of the citizenship educations and changes of political cultures in the Sukarno, Suharto, and the post-Suharto periods in Indonesia. Sukarno's and Suharto's regimes adopted Pancasila, Indonesia's state ideology, as the philosophical basis of education. The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Pancasila was nothing but a political education, which aimed at suppressing the masses and justifying authoritarian rules of the regimes. After the collapse of the Suharto regime, a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launched, which emphasized the expanded civic rights and obligations as world citizens and the masses' active participation in politics. However, in this new curriculum, Pancasila is still emphasized as the supporting philosophical pillar of education. The reason is because, through the values of communitarianism represented in the discourse of Pancasila, the state needs to control the possible irresponsible and undemocratic behaviors of local powers and global economy when liberalism is not effectively control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