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국제규범으로서 젠더 주류화가 어떻게 전 세계적으로 확산․수용되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젠더 주류화를 국제규범의 한 사례로 보고, 그것의 기원과 확산 등을 검토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요 주제가 된다. 이에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제규범으로서 젠더 주류화의 기원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었다. 젠더 주류화는 국가들에 대하여 일종의 도덕적 영향(moral influence)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여성 조직의 초국가적 네트워크는 각종 국제회의에서 여성관련 문제를 제기하고, 젠더 주류화가 주요 이슈와 주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특히 일부 국가에서 시행되는 젠더 주류화와 관련된 국내적 제도와 실제에 주목하면서 그것을 세계화시키기도 하였다. 개별 국가들은 젠더 주류화를 일종의 무형적인 국가 이익으로 인식하면서 이와 같은 도덕적 영향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국가의 국제규범에 대한 사회화(socialisation)에 초점을 맞추었다. 국가는 새로운 규범, 가치 및 이해에 대하여 인식하면서 국제규범을 통해서 사회화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국가는 젠더 주류화의 담론에 주목하면서, 그 담론이 갖는 성격을 이해하고 때로는 그것을 제도화 시키려 한다. 이와 같은 담론과 제도화의 확산은 그 국가가 속한 국제기구 또는 동료 국가로부터 젠더 주류화를 학습하는 과정이기도 하였다. 말하자면, 젠더 주류화를 일종의 규범으로 인지하고 해당 국제사회와 공동체의 기준과 정체성으로 인지, 수용하면서 국가는 학습하고, 자신의 행동을 규율하는 사회화 과정을 경험하는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underlines the origin and diffusion of Gender Mainstreaming(GM) as International Norms. In other words, the study is dealing with how GM has been generated, diffused and accepted as international norms by a lot of numbers states in the short periods. On the one hand, the origins of GM come mainly from the demand of transnational network of women's organizations. The network has provided the political momentum and societal pressure for meaningful change of women's status and inequality at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level. The network has been tried to show moral influence to change the social practices. On the other hand, the diffusion of GM has been occurred by the many states, which regard that GM is a part of International norms. The states have been tried to show their willingness to accept GM, because the states are thinking of they are a member of international society, so that they are belong to same identity, understanding and interest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The states want to be socialised via accepting GM practices. Overall, the study shows the remarkable global diffusion of GM as international no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