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비교역재의 상대가격 변화가 실질환율의 변동에 체계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는 구매력평가의 성립에 중요한 고려요인이다. 또한 실질환율과 비교역재의 상대가격 간의 조정과정이 비대칭적일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교역재를 포함한 구매력평가모형에 대해서 공적분검정을 행하되,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비대칭적 조정의 가능성을 명시적으로 고려하여 공적분관계가 성립하는지를 함께 실증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비교역재의 상대가격을 표시하기 위해서 생산자물가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를 대리변수로 사용하였으며, 미국과 일본을 기준통화국으로 정하고 아시아 5개국에 대해서 실질환율과 비교역재의 상대가격 간에 비대칭적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는지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국가에서유의한 비대칭적 공적분 관계가 발견되었다. 또한 비대칭성을 감안한 임계오차수정모형의 추정에서도 실질환율과 비교역재의 상대가격이 균형으로부터의 괴리 정도에 따라 조정속도가유의하게 달라지는 경향을 상당수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구매력평가의 성립여부를 검정하기위해서 비교역재의 존재와 조정과정의 비대칭성을 모두 고려할 경우 검정력을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about PPP(Purchasing Power Parity) is whether real exchange rates systematically depend on the relative prices of non-traded goods or not. The possibility of asymmetric adjustment between the real exchange rates and the relative prices of non-traded goods could also be considered on tests of PP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test the PPP hypothesis, but different from many previous studies, with the existence of non-traded goods and possible asymmetric adjustments. Threshold cointegration tests with the consideration of possible asymmetric adjustments are performed on the PPP model with variables of real exchange rates and relative prices of non-traded goods which WPI and CPI are exploited as proxies for. The data are collected from 5 Asian Countries. USA and Japan are used as base countries for those data. Our model finds that PPP holds on the model with the existence of non-traded goods and asymmetric adjustments in many countries. Threshold error-correction model is also estimated and pretty successfully finds the evidences of asymmetric adjustments of the variables to eliminate positive or negative deviations in the equilibrium relationships. Our investigation implies that the explicit assumptions of non-traded goods and possible asymmetric adjustments are likely to be necessary for the better power of PPP t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