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간디는 영국의 식민통치 아래 피폐된 인도의 재건을 위한 길은 농촌의 부흥에 있다고 보았다. 간디가 주창한 그람 스와라즈(Gram Swaraj, Village Self-rule)는 농촌마을의 경제적 자급자족은 물론 ‘아래’(bottom)로부터의 민주주의, 즉 풀뿌리민주주의(grass-roots democracy)를 실현하는 '마을 공화국'(village republic)을 의미한다. 간디는 농촌마을 공화국의 건립을 위해 빤짜야뜨는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인도의 전통에서 마을원로 5인으로 구성된 부락회의인 빤짜야뜨는 간디에 의해 행정적 사법적 입법적 권한을 지닌, 농촌마을의 경제적 사회적 자치 실현을 위해 다양한 임무를 관장하는 기구로 재탄생한다. 또한 전통적으로 빤짜야뜨는 도덕적인 분쟁의 조정 역할을 주로 담당한 반면 간디에 의해 빤짜야뜨를 통한 지방분권화가 강조된다. 2장 2절에서는 간디의 빤짜야뜨를 통한 농촌마을의 자치는 전통적인 빤짜야뜨가 73차 헌법 개정안에 포함됨으로써 1993년부터 실시된 빤짜야띠 라즈(Panchayati Raj)라는 현재 인도의 지방자치제도로 발전하는데 최소한 이념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 부각된다. 3장 1절에서는 현시대 우리가 직면하는 문제에 대한 대안을 간디의 빤짜야뜨에서 모색해본다. 여기서는 지방분권화문제, 과학기술문명의 팽배와 기계화로 인한 환경문제와 가치관의 부재문제, 글로벌화의 문제, 신자유주의의 확산으로 인한 빈부의 격차문제 등이 다뤄진다. 3장 2절에서는 간디의 빤짜야뜨제도를 한국 내의 상황에 비춰 고찰하고 그 장점의 도입 가능성을 다룬다.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지나치게 ‘이상적’인 것으로 다가오는 간디의 농촌마을자치이념은 그 성격상 인류에 본연의 가치에 뿌리를 둔 것이며 그와 같은 가치관의 정립은 영적 지도자 양성교육과 대중의 전인교육에 달려있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Gandhi was of the view that the rebuilding of India devastated under the British colonial rule lies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villages. The Gram Swaraj(Village Self-rule) that Gandhi advocated stands for the ‘village republic’ that realizes the democracy from the ‘bottom’, namely grass-roots democracy as well as the economic self-sufficiency of the villages. Gandhi insisted that Panchayat is inevitabl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village republics. The traditional 5 membered village council was recreated as a system with the administrative, judicial, and legislative authority that carries out various tasks in order to accomplish the economic, social self-rule. Whereas the traditional Panchayat played mainly the role of compromising moral conflicts in the village, the decentralization through the Panchayat was emphasized by Gandhi. In chapter II, section 2 it is brought out that the Gandhian ideology of the self-rule of the village through the Panchayat made at least an ideological influence on its development into the Panchayati Raj system implemented since 1993 on the occasion of its inclusion in the 73rd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In chapter III, section 1 alternatives to the problems facing the contemporary times are sought in Gandhian Panchayat system. In this connection the problem of decentralization, ecological problems resulting from the prevailing technology and industrialization, the problem of the absence of value-system, of globalization, of the increasing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due to the expansion of the neo-capitalism are dealt with. In chapter III, section 2 various aspects of the Gandhian Panchayat system are treated in the light of internal situations in Korea and the possibility of adopting the system in terms of its beneficial aspects into the internal situation. I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Gandhian ideology of Gram Swaraj that seems to be much too ‘ideal’ is in nature rooted in the values innate in human beings and the establishment of such a value system depends upon the cultivation of the spiritual leadership and the wholesome education of the m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