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탈 식민시기에 인도사회에서 크리켓이 민족주의와 관계를 맺게 되고, 이러한 관계가 더욱 강화된 배경 및 과정 그리고 그 관계의 성격 변화를 규명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삼고 있다. 본 연구는 탈 식민시기 크리켓 민족주의가 강화되어 온 주요 배경을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초 힌두 우익정권이 들어선 점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크리켓 민족주의의 성격은 지극히 종파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1990년대 초부터 시작된 인도의 경제개방과 전 지구화 요소를 크리켓 민족주의 성격 변화의 규명을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 삼고 있다. 인도 대중 매체 혁명이라 불리는 TV 시장의 개방과 확산은 크리켓을 상업적인 욕망과 민족주의적 열정에 접목하게 하였다. 특히 전 지구적 크리켓 제국을 열망하며 2008년에 문을 연 ‘인도프리미어리그’(IPL, Indian Premier League)는 인도 크리켓이 글로벌 스포츠 시장을 선도하게 함으로써 21세기의 인도인들은 크리켓과 관련지어 민족주의적 차원과 글로벌한 차원 사이에서 발생한 팽팽한 긴장 선상에 놓여 있는 셈이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processes of becoming of a cricket for the most important vehicle of the popular expression of Indian national identity and consciousness after independence from the British Raj. Furthermore, this study tries to explain the changing nature of cricket nationalism by closely examining of linkage of commercial greed to national pride after emergence of India as one of the hearts of world economy.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 rise of cricket nationalism in India, especially between the late of 1990s and early of 2000s has been closely connected to the rise of Hindu chauvinistic regime in the Indian central government. This study also shows that Indian cricket has been glamorized through cricket-oriented television networks after the so-called media revolution in India. These days, India has emerged as a preeminent nation in international cricket world by creation of Indian Premier League(IPL), as a globalized sport-marketing site in the 21st century. The spectators and audiences of cricket in the age of IPL are likely to be adjusted to the tensions created by the confrontation of nationalist dimensions with global dimen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