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인도 동북지방 부족민의 19-20세기 역사를 추적하여 많은 분쟁이 지속되는 이 지역에서 부족민과 비부족민 간의 갈등의 기원과 현상을 역사적으로 규명한다. 곧, 동북지방 부족민의 탄생과 변화를 위로부터의 관점- 정부의 정책과 아래로부터의 관점- 동북지방 부족민의 대응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군사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중요한 동북지방의 지정학적 위치는 영국의 식민통치와 독립 이후 ‘델리’에 있는 인도 정부의 통치로 하여금 그곳 주민을 부족민으로 규정하고 ‘특별관리’대상으로 만들었다. 동북지방 주민들은 독립 후 변방과 마이너리티라는 이중의 소수자로서 중앙정부가 주는 혜택을 누리면서도 ‘인도에 있는 외국인’으로 자기정체성을 구성하고 무장투쟁을 통해 ‘바라는 바’를 얻는 방식을 답습해왔다. 2세기에 걸친 동북지방 부족민의 정치적 역정의 탐구를 통해 문화의 생존은 차이의 강조와 배제가 아닌 포용정책에 근거함을 밝힌다.


This paper studies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conflict of non-tribes versus the tribes in the Northeast of India, where the region come to be characterized by ethnopolitical insurgencies, through tracing the tribal history of the region. The study analyses, in other words, the creations and changes of the tribes in the 19-20 Century both from the view from above- the policies of the governments and from the view from below- the responses of the tribals. The Delhi Raj, either the British Colonial government or the Indian government after the independence, marginalized the people, creating specially controlled areas, for the administrative convenience with its geopolitical and strategically importance of the region, The responses of the tribes to the policies of the governments were double-minded in that accepting and utilizing the nomenclature called Scheduled Tribes given by the government at the same time proclaiming and practicing their identity as non-Indians. By examining the political process of the tribes in the Northeast this paper concludes that a survival of any culture depends on policies of tolerance rather than of exclusion or emphasis on dif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