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1763년 일본 통신사의 일원으로 일본에 갔던 이언진(1740-1766)이 일본 문사들과 나눈 필담을 분석한 것이다. 특별히 명대의 문인인 왕세정과 관련된 문답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1763년 통신사로 일본에 가기 전 이언진의 위상은 그다지 높지 않았다. 하지만 그곳에서 지은 시와 일본 문사와의 필담을 통해 통신사 일행 중 그의 위상은 뒤로 갈수록 돋보이게 되었다. 일본 문사들은 이언진 보다 높은 지위에 있었던 여타 문인보다 그를 더 높게 평가했다. 현재 일본에 남아있는 필담 자료 중 이언진과 주고 받은 대화가 기록된 것은 모두 6종이 남아 있다. 구정남명의 『앙앙여향』, 오전상재의 『양호여화』, 궁뢰용문의 『동사여담』, 금정송암의 『송암필담, 내산속재의 『속재탐승초』, 남천금계의 『금계잡화』 등이 그것이다. 이들의 대화 속에 거의 예외 없이 나타나는 왕세정을 둘러싼 논의가 흥미롭다. 왕세정은 당시 조선 문인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지 못했던 데 반해, 일본에서 그에 대한 추숭은 대단했다. 그런 상황에서 이언진이 다른 조선 문인과 달리 왕세정을 높이는 뜻을 반복해서 천명하자, 일본 문사들은 그에 대해 강렬한 흥미를 느꼈다. 하지만 여러 차례의 필담은 이언진과 일본 문사들의 왕세정에 대한 이해가 서로 층위가 다르고, 초점이 같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준다. 이언진은 왕세정의 의고적 성향이 아닌, 공부의 스케일과 문장의 무궁한 변화를 높이 평가한 데 반해, 일본 문사들은 이반룡과 왕세정을 나란히 두어 고문사의 방면에서 이룩한 그들의 성취를 높이고 있어, 서로의 입각점이 달랐다. 본고에서는 필담 내용을 상세히 분석하여, 이러한 차이를 확인했다. 또한 당시 한일 문사의 문학 토론의 정황과 의의를 살펴, 향후 심화된 논의의 토대를 마련코자 했다.


This paper analyzed conversation with writing between Lee Unjin who was sent to Japan as a member of the delegation to Japan and Japanese literary men in 1763. Especially it centered on conversation on Wang Sejeong. Before going to Japan as an envoy, Lee Unjin’s status was not very high. However his status of the group of the delegation to Japan gradually stood out through poem written in there and conversation with writings related with Japanese writers. Japanese writers appreciated Lee Unjin more valuable than other writers having higher status than Lee Unjin. Materials of conversation with writings of now remaining in Japan including conversations with Lee Unjin are six. These are Gujeongnammyung’s Ahngahngyeohang, Ohjeonsangjae’s Yanghoyeohwa, Gungroeyoungmun’s Dongsayeodam, Guemjeongsongahm’s Seongahngphildam, Naesansokjae’s Sokjaetamseungcho and Namcheongeumgye’s Geumgyejabhwa. Arguments surrounding Wang Sejeong almost recorded without exception in their conversation were interesting. While Wang Sejeong was not appreciated by Joseon writers, he was very highly appreciated by Japanese writers in that times. In this situations, as Lee Unjin repeatedly represented his view evaluating Wang Sejeong unlike other Joseon writers, Japanese writers were intensely interested to him. However, understandings on Wang Sejeong were different in level and were not same focal point between Lee Unjin and Japanese writers through several conversation with writings. While Lee Unjin appreciated not Wang Sejeong’s classical feature but his study scale and infinite changing in sentences, Japanese writers appreciated aspects of ancient writers of Lee Banryong and Wang Sejeong located in a row. To conclude, views of each other were different. This paper confirmed this differences through detailed researching on contents of conversation with writings. Also, as this paper studied situations and meanings on debates between Joseon writers and Japanese writers in that times, this paper prepared the basement on deepened arguments afterw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