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洪奭周(1774~1842)의 5편 원체산문은, 정격고문체로 작성된 연작 산문이다. 새로운 문예원론 및 철학담론을 제시하면서 여타산문과 대별되는 이지적인 산문미를 노정하고 있다. 이는 선초 이후 비롯되어 조선후기에 집중적으로 창작된 원체산문이 대부분 성리학 이론이나 정치 원론에 집중되어 있었던 점과 비교해 볼 때 유다른 색채를 띠는 것이다. 「原詩」에서 다루고 있는 ‘詩發於情’의 문제는, 『詩經』 이후 비롯된 시학 원론에 해당하지만, 조선 후기에 본격화된 논의 중의 하나이다. 「원시」에 포착된 홍석주의 시론은 인간의 내밀한 욕망과 정감 및 개성이 긍정되는 조선 후기 시학상의 새 흐름을 참조하면서, ‘文章載道之器’ 및 ‘感人效用’을 위주로 하는 전통적 문예 원론 및 시학 이론을 아우르는 것이다. 「원시」에서 발아된 홍석주의 시학 논의는 저자의 말년 저술 『鶴岡散筆』에서 더욱 구체화되었고, 저자의 실제 작품 창작 경향으로도 나타났다. 전통과 새 흐름을 아우르는 홍석주의 시론은 조선 후기의 시학상의 큰 흐름과 맥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그 문학사적 의미와 가치가 있다. 「原名」에서 다루고 있는 ‘名實’문제는, ‘名 보다는 實’을 중시하는 지식인 일반의 도덕적인 修己․處世學의 논리를 기본으로 한다. 다만 홍석주는 자신의 명실론적 입장을 정리하면서 ‘名을 거론하는 일 자체’에 대한 도덕적 자기 검열의 과정을 포함하여 명실 논의의 가치와 의미를 새로이 발견해 내고 있다. 이는 가장 본원적인 질문에 소급하여 문제의 원인과 대안을 찾는 원체 산문 고유의 논리 전개 방식과 서술 방식을 충실히 따른 결과이기도 하다. 가장 본원적인 질문에로 소급하는 원체산문 고유의 이러한 논리전개 방식과 작문 기법은 저자만의 남다른 생각과 가치관, 지식 및 철학담론을 이끌어내는데 효율적으로 기능하고 있다. 5편 원체 산문을 통해 홍석주가 견지한 詩論과 名實論적 입장은, ‘辭達’을 중시하는 그의 古文觀과도 공명하면서, 작품 자체에 빈번한 몇 가지 수사법으로도 표출된다. 問答文 형식은, 작품의 내용 전달력을 높이면서 핵심 논지와 주제를 전개시킨다. 논의 전개상 빈번하게 사용된 ‘혹자 힐문[或曰]’은, 이전까지의 논의를 재검하고 구체적인 반론과 역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저자가 내세우는 주제를 선명하게 부각하고 강화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홍석주 원체산문이 지닌 이러한 修辭들은, 작품의 내용 전달력을 높이기 위해 빈번하게 사용된 다양한 인용․열거법, 대비․비유법 등과 더불어 현대 작문 기법으로 활용할 만한 방법론적 대안과 요소로써 주목할 만한 것이다.


Suk-joo Hong(1774~1842) has written 5 won style proses, a series of prose that is written in archaic standard style. He introduces a new literary theory and philosophical discourse and the intellectuality is disclosed in the aesthetic of his proses; it makes his work different. Even though a large number of won style proses that mostly reflect the neo-confucianism theory or the political theory have been written intensively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since the beginning, his work has still different colors. Although ‘the discourse of feeling in the poem’ that is disclosed in 「Wunsi」 is relevant to the poetic theory after the period of 「Book of Songs」, it is discussed earnestly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poetics of Suk-joo Hong is acceptable in the new trend and atmosphere of poetics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that affirms the inner desire, feeling, and individuality of human and also affirms that traditional literary theory that treats‘literary as the container of truth’. His moderate conservative poetics is disclosed in his latter book of 「HakGangSanPil(鶴岡散筆)」 and the tendency of his writing works. Embracing the tradition and the new trend, his poetics gain meaning and worth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o reflect main stream and context of poetics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Regarding to ‘justification and practicality’ in 「Wunmyeong」, he writes about ethical behavior and successful living of intellectual class, emphasizing ‘practicality than justification’. Furthermore he also contains the process of ethical self-censorship with ‘referring the work of justification’ in his writing, finding the value and meaning in the discussion of practicality and justification. He follows the logical process and narrative method of original won style prose faithfully, searching the most proper causes and alternatives for the fundamental questions. The narrative method of won style prose effectively functions to derive the author’s individual idea, value, and discourse. Through 5 won style proses of Suk-joo Hong, his poetics and preference between justification and practicality are disclosed in repeated rhetorical expressions in the works, resonating with his traditional poetics to emphasize ‘conveying truth’. The ‘question-answer’ narrative increases the power of persuasion and unfolds the core thesis and subject. To enhance and intensify the subject that the author ultimately insists, he uses frequently ‘close question narrative’ while using expressions such as ‘someone says that’ to raise objection or reverse the discussed issues. The rhetorical expressions such as various ‘metaphors’ and ‘enumerations’ that are used in Suk-joo Hong’s won style proses increases the power of persuasion and also is meaningful as a great tool to be applied in the modern composition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