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7~8세기 동아시아에서는 都城의 시대가 열려 각국이 수당 장안성을 본딴 격자형 도성의 건설에 나섰다. 따라서 이 시기에 장안은 동아시아의 도성 표상이랄 수 있고, 그 안에 거주하던 주민들의 모습은 당시를 잘 반영해주는 일상의 표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글은 장안 거주민들이 일상적으로 들렀을 시장의 모습을 일상생활의 표상으로 구성해 보고자 하였다. 장안의 거주민들은 높은 담장으로 둘러싸인 110坊에 넣어져 정부에 의해 공간과 시간을 통제받고 있었다. 어떤 학자는 이를 ‘감옥도시’라고까지 표현하였다. 이들의 일상의 자유는 일출과 일몰까지 방 밖을 나갈 수 있는 시간, 그리고 필요한 물품을 구입하고 제한된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시장의 출입 외에는 없었던 것 같다. 이글에서는 먼저 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공간적 배치와 시서를 통한 각종 통제를 통해 국가가 어떻게 주민들을 통제하고, 시장을 관리하려고 하였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시장 통제를 담당하는 市署의 역할을 상세히 분석함으로써 시장의 역동성을 검토하였으며, 市籍에 등재되어 동시와 서시에서 살아가는 상인들의 다양한 모습을 그려내려고 하였다. 특히 서시와 그 주변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商胡의 활동을 통해 당시 장안성이 지니고 있던 국제도시적 면모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동시와 서시에 존재했던 각종 行을 분석함으로써 상인과 주민 사이에 거래되던 주요 물품들을 알아보고, 이어서 8세기 이후 국가가 강요하던 시제와 방제가 붕괴되면서 나타나는 시장의 변모 즉 시장 공간의 확대 현상의 의미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당대 장안이라는 공간을 무대로 살아가던 도시 거주민들의 일상생활의 일면을 엿볼 수 있었다.


Emulating Sui-Tang Chang’an, East Asian countries constructed their own capital city and capital city era had come to order in 7-8 centuries. Wherefore Chang’an was the symbol of city life at that time and diverse activities of the residents within Chang’an was meant to be the symbol of everyday life. This paper researched the appearance of the marketplaces where the residents in this capital city visited almost everyday as a representation of everyday life at that time. Putting the 110 wards with a high wall all around it, the residents of Chang’an was controlled by Tang government. Therefore some scholars expressed this capital city as a jail city. The residents only had freedom of everyday life for a time to get out of the residence ward from sunrise to sunset, to visit the marketplaces purchasing necessary goods and enjoy the sense of restricted freedom. Examining the space arrangement of capital city and two marketplace and every kind of residents control by market administration, this paper reviewed how to control the merchants and how to manage the marketplaces. Concretely analyzing the role of market administration, this paper represented the dynamics of market and tried to show the diverse figures of merchants living in Eastern Market and Western Market. Especially focusing the activities of “foreign merchants” lived in western marketplace and that neighboring wards, I emphasized the cosmopolitan city of Chang’an. And examining the various bazaar, this paper researched the various type of commodities sold in marketplaces between residents and merchants. Last but not least, market regulation system and time limit system collapsed and merchants expanded the market area into the surrounding of marketpla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