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인들이 백의를 즐겨 입은 것은 멀리 고대부터였다. 그러나 고려 말, 그리고 조선시대에 들어와 정부는 백의는 동방국의 옷이 아니라면서 ‘백의 금령’을 수차례 내렸다. 당시 정부는 백의 대신 동방의 색인 청색 옷을 입도록 종용하였다. 그러나 백성들은 청색 옷보다는 백의나 옅은 옥색의 옷을 즐겨 입었다. 대한제국기에 들어와 서양인들은 한국인들은 ‘백의인’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일제강점기 이후에도 백의 습속은 이어졌고, 한국인들도 스스로를 ‘백의민족’ ‘백의동포’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일부 독립운동 단체는 ‘백의’라는 용어를 단체 이름에 빌려 쓰기도 했다. ‘백의’가 한국민족의 표상으로 등장한 것이다. 그런데 1920년대 들어 일부 민족주의자들은 돈, 시간, 노동력의 낭비, 그리고 활동상의 비효율 등을 들어 백의를 버리고 색의를 입자고 주장했다. 이에 호응하여 청년회, 종교단체 등이 나서서 생활개선의 차원에서 백의를 버리고 색의를 입자는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민간의 호응은 그리 크지는 않았다. 당시 언론은 민간에서 색의 장려 캠페인이 큰 호응을 받지 못하고 있는 이유로 염료 가격의 부담, 염료 기술의 보급 미흡 등에 있다고 분석했다. 1930년대에 들어와서는 일부 관리들과 관변 단체들이 백의 폐지와 색복 장려 운동을 펼치기 시작했다. 특히 전북과 경북 지사로 차례로 임명된 김서규가 이 운동에 앞장섰다. 이에 우가키 카즈시게 총독은 농촌진흥운동의 일환으로 ‘색복’을 장려하도록 지시했다. 이에 따라 색복 장려운동은 완전히 관의 주도로 넘어갔다. 이후 ‘색복 장려’는 사실상 ‘색복 강제’가 되었다. 각 군에서는 강연회, 선전비라 배포, 염색강습회 등을 개최하여 대중을 계몽하려 했다. 그리고 일부 군에서는 백의를 입은 이는 관청의 출입을 못하도록 했고, 시장에 백의를 입고 온 이에 대해서는 붉은 색 잉크나 먹물을 뿌리기도 했다. 또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서약서를 받기도 했다. 이와 같은 무리한 강제에 의하여, 1940년경에 이르면 백의를 입은 이들은 상당히 줄어들었다. 이상에서 살핀 것처럼 한국인 민족주의자나 조선총독부는 백의를 착용하는 습속을 돈, 시간, 노동력, 효율성 등의 근대적 가치기준을 들어 함께 비판하였다. 그 결과 한때 등장하였던 ‘백의민족’이라는 표상은 설 자리를 잃어 갔다. 해방 직후 ‘백의민족’ ‘백의동포’라는 말은 일시 부활하였다. 그러나 한국전쟁 이후 한복이 점차 양복에 밀리면서 ‘백의’는 자연스럽게 소멸되어 갔으며, ‘백의민족’이라는 말도 서서히 사라져갔다.


From the ancient times, Koreans enjoyed wearing white clothes. However, after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government issued an order not to wear white clothes several times, saying that white clothes were not the clothes of the Eastern Country. Those days, the government urged to wear blue-clothes, saying the blue color was that of the Eastern Country. The subjects, however, enjoyed wearing white clothes or pale blue-green clothes. Western people started to call Korean people “White-Clad People” in the era of Korean Empire Government. During the colonial period, Koreans began to call themselves White-Clad People, White-Clad Nation or White-Clad Compatriot. Some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borrowed the term of white-clad or white clothes for their organization names. In the 1920s, the press, young people’s organizations and religious organizations conducted campaigns to wear color garments, discarding white clothes in order to improve life. They insisted to wear color garments, instead of white clothes, due to economic reason, the waste of time and inconveniences in activities. Civilians' response was not much favorable, though. The press said the reasons why such a campaign did not receive good responses were the burden of dye prices and lacking diffusion of dye technology. In the 1930s, some government officials and interest groups began to wage a campaign to abolish white clothes and wear color garments. Especially, Kim Seo-gyu, who was appointed as Jeonbuk and Gyeongbuk Governors in sequence, led the campaign. Japanese Resident-General Ugaki Kazushige instructed to encourage color garments as part of a rural development campaign. The color garments encouragement campaign was completely led by the government. Since then, the encouragement to wear color garments came to force to wear color garments. Each county tried to enlighten the public by holding lectures, distributing propaganda leaflets and offering lectures on dye. Some counties prevented people wearing white clothes from entering government offices, and also sprayed red ink or Chinese ink to those who wore white clothes in markets. Also, some county officials visited households and received written oaths. Due to such forceful acts, people wearing white clothes decreased quite a lot by 1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