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라이프니츠의 조화론을 개념 틀로 활용하여 고려 다원사회를 조명함으로써 사회의 안정적 운영 방안을 논의한다. 라이프니츠의 사상과 고려사회는 역사적으로 아무 접점도 없는 이질적인 영역을 각기 구성하지만 양자 모두 다원성과 통합성의 조화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구조적인 유사성을 보인다. 고려사회는 다원성과 통합성이 조화와 균형을 이룰 때 번성한 반면 다원성과 통합성의 간극이 커지면서 결국 붕괴되었다. 이런 관점에서 다원성과 통합성을 가장 체계적으로 조화시켰다는 평가를 받는 철학체계를 통해 역사를 조망함으로써 국가의 안정적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 본 논문의 기획이다. 사회운영 방안과 관련하여 다원성은 이중적 측면의 잠재성을 갖는다. 한편으로 다원성의 확산은 견고한 통합성이 동반된 경우라면 중심세력과 지방세력이 적절한 긴장 속에서 서로 상대적인 자율성을 확보함으로써 사회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하는 핵심적 기제가 된다. 다른 한편, 다원성과 통합성의 균형이 와해될 경우는 사회 구조의 변형이 불가피해지며 기존 사회가 붕괴되거나 다른 유형의 사회로 대체된다. 다원적 구조로 출발한 고려왕조의 발전과 쇠퇴는 바로 다원성과 통합성의 조화와 균형 여부에 의해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라이프니츠의 조화론을 매개로 고려사회를 바라봄으로써 도출할 수 있는 현실적 교훈이 있다면 그것은 다원성과 통합성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적 장치를 적시에 마련할 때 사회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한다. 첫째, 철학적 · 사회학적 관점에서 다원주의의 흐름을 개관한다. 둘째, 라이프니츠의 위상을 자리매김함으로써 그의 다원주의 개념을 규명한다. 마지막으로 라이프니츠가 제시한 다양성과 통합성의 조화 모델과 고려 사회의 다원주의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사회운영 방안을 위한 몇몇 의미를 도출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ways of social management by considering Koryo Dynasty which is a plural society with the framework of Leibniz’s harmony theory. Leibniz’s philosophical ideas and the sociological tendency of Koryo Dynasty are historically not in any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nd each is comprised of its own heterogeneous areas. However, they share some meaningful structural similarity in respect that they both distinguishingly center on the harmony between pluralism and unity. It is noticeable for Koryo Dynasty to sustain a long period of stable prosperity just as pluralism and unity in it was in harmony and balanced, whereas it was insecurely disintegrated when the gap between them was critically increasing. I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intends to explore the way of acquiring the stability of a society by taking a close look at the history through the very philosophical thought, which is considered as the most systematic theory for the harmony of pluralism and unity. Pluralism has a twofold potential with regard to social management. On the one hand, the spread of pluralism, if it is accompanied by solid integration, constitutes a key mechanism to contribute to the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a society. What makes it possible is in the way that central and local forces hold the relative autonomy through an adequate tension between them.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collapsing the harmony between pluralism and unity, thereby, the society inevitably experiences the transformation of its structure, and, further, the remaining society breaks down or is replaced by other types of society. Koryo Dynasty originally started as a pluralistic social structure, though, its rise and fall seems to have been determined by whether it successfully maintained the balance between pluralism and unity or not. If so, we are able to reach a possible and crucial lesson in the consideration of Koryo dynasty with the framework of Leibniz’s harmony theory, namely, that we can secure a stable society when timely settling the societal structural system which can provide the balance of pluralism and unity. In this regard, this paper focuses largely on three parts as follows. First, in philosophical and sociological perspective, it makes a general overview of pluralism. Second, it specifically determines the Leibniz’s concept of pluralism in his philosophical thought. Finally, it derives some meaningful ways when it comes to social management by comparatively considering both the Leibniz’s harmony model of pluralism and unity and Koryo Dynasty’s plur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