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화자가 문장에서 자신의 의도를 실현하기 위해 어떻게 구체적인 어휘나 문법 형태를 선택하는가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그런데 화자의 의도를 밝힌다는 것은 상당히 추상적인 분야에 속하는 것이므로 연구의 편의와 명료성을 위하여, 여기서는 두 요소가 서로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예들을 분석 모델로 삼을 것이다. 즉, 러시아어 재귀-소유대명사와 인칭-소유대명사의 호환성과 관련한 문제이다. 러시아어 재귀-소유대명사와 인칭-소유대명사는 자신의 의미 자질을 통해 화자의 선택을 유도하고, 발화를 통해 화자의 의지를 반영한다. 비록 그러한 의미 자질이 재귀-소유대명사와 인칭-소유대명사의 주요 의미 자질은 아닐지라도, 그것들이 화자의 선택을 강요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의미는 주요 의미가 아닌 부가적 의미로 불릴 수 있다. 부가적 의미란 재귀-소유대명사 본유의 재귀적 의미나 인칭-소유대명사의 소유주 지시 의미를 제외한, 화자의 의도에 따라 발화상에 나타나는 내재적 의미를 가리킨다. 그러한 부가적 의미로는 감정이입(empathy)의 유무와 배분적/집합적 의미를 들 수 있다. 형태적으로 고유의 지시 의미를 갖지 못하는 재귀-소유대명사들은 문장 내에서 사용되면서 자신의 지시 대상을 우선적으로 획득하려 한다. 따라서 자신의 선행사와의 상호 관계 정립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며, 그러한 관계 정립을 통해 자신의 의미 자질을 실현하려 한다. 이렇게 자신의 의미 자질 실현 과정에서 선행사의 자질을 계승하려는 재귀-소유대명사에 비해, 상응하는 인칭-소유대명사들은 오히려 자신의 피 수식어에 의미를 집중한다. 이러한 의미 지향 방향의 차이로 인하여 이들의 부가적 의미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그것이 화자의 발화 의도에 반영되게 되는 것이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 재귀-소유대명사와 인칭-소유대명사의 부가적 의미를 분류하고 그들의 발생원인을 의미지향성과 연관하여 설명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와 더불어 그들의 의미 지향 영역이 생성문법적 분석에 따른, 재귀-소유대명사의 결속 영역과 인칭-소유대명사의 비결속 영역이라는, 자신의 지배범주와 일치됨을 보여줌으로써 통사적 실현과 의미적 발현의 상관성을 증명할 것이다.


This study addresses the correlation between syntactic domain and meaning selection. For this purpose the author analyzed the additional meanings of russian possessive pronouns. Russian possessive pronouns express empathy, distributive meaning and collectional meaning. (Empathy is the speaker's identification with a person/thing that participates in the event or state that he describes in a sentenc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aning nature of russian possessive pronouns and discusses how speaker decides a selection between personal-possessive pronoun and reflexive-possessive pronoun. Personal-possessive pronoun and reflexive-possessive pronoun stand in complementary relation for each other. It is due to the their meaning directivity. (1) a. Я бы не мог ударить мою жену. ⇒ [S ... [NP мою → (жену)]] b. Я бы не мог ударить свою жену. ⇒ [S (я) ← свою ] In the case of examples in (1.a) and (1.b), the difference in meaning directivity of pronouns is based on meaning properties of themselves. And schema for meaning directivity of russian pronouns looks like (2). (2) a.Head-oriented pronoun: [NP Personal-possessive pronoun → (Head)] b.Antecedent-oriented pronoun: [S (Antecedent) ← Reflexive-possessive pronoun] Their meaning directivity are hold the same syntactic structure with binding domain. Then the meaning representation has a strong correlation with syntactic structure.


This study addresses the correlation between syntactic domain and meaning selection. For this purpose the author analyzed the additional meanings of russian possessive pronouns. Russian possessive pronouns express empathy, distributive meaning and collectional meaning. (Empathy is the speaker's identification with a person/thing that participates in the event or state that he describes in a sentenc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aning nature of russian possessive pronouns and discusses how speaker decides a selection between personal-possessive pronoun and reflexive-possessive pronoun. Personal-possessive pronoun and reflexive-possessive pronoun stand in complementary relation for each other. It is due to the their meaning directivity. (1) a. Я бы не мог ударить мою жену. ⇒ [S ... [NP мою → (жену)]] b. Я бы не мог ударить свою жену. ⇒ [S (я) ← свою ] In the case of examples in (1.a) and (1.b), the difference in meaning directivity of pronouns is based on meaning properties of themselves. And schema for meaning directivity of russian pronouns looks like (2). (2) a.Head-oriented pronoun: [NP Personal-possessive pronoun → (Head)] b.Antecedent-oriented pronoun: [S (Antecedent) ← Reflexive-possessive pronoun] Their meaning directivity are hold the same syntactic structure with binding domain. Then the meaning representation has a strong correlation with syntactic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