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에미네스쿠의 사랑 시들이 주는 메시지는 시인의 모든 기본사상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이 시들은 주인공의 인생 드라마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철학적인 의미를 갖고 있으며 정신적이고 존재적인 체험을 표현하고 있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에 대한 고통은 남녀 합체에 대한 갈망으로 나타난다. 에미네스쿠 작품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서로 반대되는 짝들 즉 여자와 남자, 천사와 사탄, 등은 합체에 대한 노력을 상징하며 신화적, 서정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신화적인 표현은 시 “천사와 데몬”, 그리고 소설 『체자라』, 『가련한 디오니스 』 등을 통해서 분석되고 있다. 현상의 세계로부터 초월하여 다시 원초적인 하나가 된 이 짝에게는 둘이었다는 경험이 중단되고 반대성은 사라진다. 서정적인 사랑의 의미에서는 서로 사랑하는 연인들의 만남이 가정법으로 묘사되며 이 허구적인 만남이 주인공으로 하여금 극심한 절망에 이르게 한다. “서간문 IV”에서 이 만남과 분리가 자연환경의 변화와 수사법을 통해서 잘 묘사되고 있다. 불완전한 인간 조건으로부터의 구원이며 창조의 원동력인 사랑은 불가능한 것으로 사랑의 드라마는 끝나지만 시인은 시 “샛별”에서 자신의 구원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The main message which Eminescu’s love poetry expresses has deeply relation with Eminescu’poetry basic ideas. His poetry underlines the mental experience for the existence, having a philosophical sense because it occurs in the drama of characters’ life. The pain of love which could not be realized turns up as a longing for the coalescence between man and woman. The contrary pairs like man and woman, angel and devil etc. which frequently appeared in Eminescu’s poetry, become a symbol of efforts for this kind of coalescence being expressed mythically and lyrically. Especially these mythical expressions stand out in the poem ‘Inger si Demon (angel and devil)’ and the novel ‘Cezara’, ‘Sărmanul Dionis (Pitiful Dionysus)’ etc. For this pair which was consolidated into one, again transcending over the phenomenal world, the experience of division was ceased and the opposite is disappearedFor the sense of lyrical love, the poet tries to describe subjunctively their meeting, but this lovers’ fictional meeting occurs the heavy dispair for the main characters. In ‘Scrisoarea IV (Letter IV)’ this meeting and separation appear very well through the change of natural environment and the rhetoric skills. Like a salvation from the conditions of fragile humanity as well as a driving force of creation, the love could not be on and the drama of love comes to an end, but the poet suggests the rescue of self-confidence and the method of self-redemption in his poem ‘Luceafărul (Lucifer)’.